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희귀질환 진료에 집중하도록 구조 전환에 나선다. 건강보험 재정을 3년간 10조원 투입해 상급종합병원의 중증 진료 비중을 70%까지 높이고 일반 병상은 최대 15% 줄인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상급종합병원 구조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희귀질환 진료에 집중하도록 구조 전환에 나선다. 건강보험 재정을 3년간 10조원 투입해 상급종합병원의 중증 진료 비중을 70%까지 높이고 일반 병상은 최대 15% 줄인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의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지원사업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복지부는 전날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이 방안을 보고했고, 이날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논의를 거쳐 확정했다. 우선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응급·희귀 질환에 집중하도록 중증 진료 비중을 현행 50%에서 70%로 단계적으로 높인다. 다만 현재 병원별로 중증 비중이 다르기 때문에 70%에 도달하지 않더라도 목표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을 달성하면 인센티브를 지원하기로 했다. 또 이 과정에서 현행 중증 분류 기준의 한계 때문에 환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받아야 하는데도 비중증으로 분류돼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구조 전환 지원사업에서는 중증으로 간주하는 예외 기준을 신설한다.상급종합병원이 과도한 병상을 두고 진료량을 늘리기보다는 의료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병상 수도 줄인다. 지역과 병상 수준에 따라 일반 병상을 5~15% 축소한다. 다만 어린이 병상, 응급 병상 등은 줄이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정경실 복지부 의료개혁추진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경증 진료는 줄이되 필수적인 진료 기능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증·응급환자 진료에 적합한 인력구조로 전환한다. 정 단장은 “전문의, 간호사 등의 팀 진료를 통해 인력 운용을 효율화해 나갈 수 있도록 하겠다. 다기관 협력 수련 모델을 통해 전공의 의존도를 단계적으로 낮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다만 정 단장은 “일부에서 우려하는 것처럼 전공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이 아니”라며 “전공의가 상급종합병원에 소속하면서도 다양한 임상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다기관 협력수련을 통해 1개 기관의 전공의 현원을 기준으로 봤을 때 기존처럼 전체 의료인력의 40% 이상을 전공의가 차지하는 것은 개선해나가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정부는 이 같은 구조 전환을 위해 건강보험 재정을 연간 3조3000억원, 3년간 총 10조원 지원할 계획이다.
상급종합병원이 중증 진료에 집중하도록 하는 방향성은 적절하지만,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백근 경상국립대 의대 교수는 “상급종합병원의 구조 전환은 필요하다”면서도 “전공의 의존도를 낮출 때 인건비를 덜 쓰고 싶은 병원 쪽에선 진료지원 간호사의 역할을 늘릴 텐데, 이때 간호사의 노동 환경이 악화하고 이에 따라 환자가 받는 의료서비스 질도 나빠지지 않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비수도권 대학병원 공공부원장은 “일반 병상을 축소한다고 하지만 병원의 공간, 비용 문제 등을 고려하면 병상 축소 과정에서 응급환자가 최종 치료를 받은 뒤 입원할 병상도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 응급실 미수용 문제가 더 커질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대형병원, 전문의·중증질환 위주로 확 바꾼다…3년간 10조 투입(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정부가 3년간 10조원을 투입해 상급종합병원을 전문의와 중증질환 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종태 '윤 정부, 의료공백 사태 수습에 2조 건보 재정 투입'의과대학 정원 2천명 증원으로 발생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으로 인한 '의료공백 사태' 수습에 투입된 건강보험 재정이 총 1조9436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의원(대전 서구갑)은 12일 '윤석열 정부의 독단적인 의과대학 정원 증원 결정으로 야기된 의료공백사태가 7...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가 핵심기술 유출 피해액 23조 넘는데”...3년간 실형 선고는 10% 불과반도체와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우리나라 첨단산업분야에서 국가핵심기술을 포함한 산업기술의 해외 유출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22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재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산업기술 해외 유출 사건은 총 15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가핵심기술 유출 사건도 3건으로 확인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건보 재정 2천168억원 또 투입…7개월째 비상진료체계에 1.2조원(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료 공백 사태가 7개월째로 접어든 가운데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 2천200억원가량을 추가로 투입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페이크 등 허위콘텐츠 탐지 기술 개발에 3년간 91억원 투입(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경찰이 내년에 27억원을 들여 딥페이크·딥보이스 등 허위조작 콘텐츠를 탐지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개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의대 개선에 5조원 투입 전임교수 3년간 1천명 늘린다지역인재 60% 이상 선발하고지방 필수의사제도 시범 도입모든 국립대에 임상교육센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