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감위)가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재가입의 물꼬를 터줬다. 정경유착 우려는 드러내면서...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 복귀 재논의를 위해 열린 임시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18일 오전 서울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 준법감시위원회가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 재가입의 물꼬를 터줬다. 정경유착 우려는 드러내면서도 재가입에 반대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 여부는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 이사회로 그 공이 넘어갔다. 이찬희 준감위원장은 18일 오전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2차 임시회의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전경련이 정경유착 우려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다는 데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았다”면서도 “전경련 가입 여부는 이사회와 경영진이 최종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앞서 준감위는 지난 16일에도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 문제를 논의했으나 의견이 모아지지 않아 최종 결론을 내리지 못한 바 있다.
삼성·현대차·에스케이·엘지 등 4대 그룹은 2016년 국정농단 사태 당시 전경련을 탈퇴한 바 있다. 삼성 쪽은 준감위가 재가입의 문을 열어주면서도 전경련 활동에 우려를 표명한 것에 대해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다. 재가입 결정을 삼성이 직접 해야 하는 모양새가 됐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일부에선 삼성 5개 계열사 이사회가 전경련 임시총회 전에 열리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삼성 관계자는 “일단 준감위 판단은 조건부 승인으로 보고 있다”며 “늦어도 전경련 임시총회 전에는 계열사별 판단이 정해지지 않겠느냐”고만 말했다. 시민단체에선 날 선 비판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낸 논평에서 “준감위는 전경련의 대변 기구가 아니라 삼성그룹의 정경유착 유인을 차단하는 기구”라며 “정경유착을 근절해야 할 준감위가 전경련 재가입의 책임을 이사회와 경영진에 떠넘기는 건 스스로 존재 가치가 없음을 확인해준 것”이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삼성 준감위 ‘전경련 컴백’ 검토 마쳤다…4대 그룹 6년 만에 복귀 수순18일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임시회의를 열고, 삼성전자·SDI·생명·화재·증권 등 5개 관계사에 '재가입 여부는 각 이사회와 경영진이 결정하라'면서도 ‘정경유착 행위 발생 시 즉시 탈퇴’ ‘운영·회계 투명성 확보 방안 검토’가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재계에선 이날 삼성 준감위의 결정이 ‘4대 그룹 전경련 복귀’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해왔다. 4대 그룹은 2017년 전경련에서 탈퇴했지만, 삼성(삼성전자·SDI·생명·화재·삼성증권), SK(SK㈜·이노베이션·텔레콤·네트웍스), 현대차(현대차·기아·현대건설·모비스·제철), LG(㈜LG·전자) 등 일부 계열사를 중심으로 한경연 회원 자격을 유지해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 ‘정경유착 카르텔 복귀’ 우려···준법위, 18일 전경련 재가입 결정?삼성그룹의 전국경제인연합회 복귀 여부를 놓고 외부 감시기구인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준감위)가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삼성 준감위, ‘전경련 정경유착 발생시 탈퇴’ 조건부 복귀 권고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18일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 복귀에 대해 “정경유착 발생 시 다시 탈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