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아내와의 마지막 약속을 지키려는 노인 사랑하는_당신에게 사랑과_상실 웃음과_감동 편지와_춤 죽음 김형욱 기자
70대 중반의 제르맹, 아들 딸과 손자 손녀들 그리고 부인과 지지고 볶으며 평범하게 살아가는 노인이다. 그는 딱히 노년을 즐기는 것 같진 않은데, 몇 살 차이 나지 않는 아내 리즈는 현대 무용을 배우러 다닌다. 그렇게 열정적이고 건강하던 아내가 어느 날 갑자기 부엌에서 쓰러져 세상을 뜬다. 허망한 가족들, 장례를 치르고 남은 가족들이 번갈아 가며 제르맹을 들여다보고 또 보살피기로 한다.
제르맹은 과할 정도로 그에게 관심을 갖고 간섭까지 하는 가족들 몰래 무용을 배우는 한편 도서관에 가서 근래 있었던 일과 소회를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로 써서 아무 책에 꽂아 놓는다. 그러던 어느 날, 제르맹의 몸짓을 본 리보트가 공연을 불과 4주 남겨 놓고 주연을 제르맹으로 바꾸고자 하는데… 공연 날짜도 얼마 안 남았거니와 프로도 아닌 생아마추어를 주연으로 올릴 수 있을까? 제르맹은 아내와의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벨기에-스위스 영화 는 'Last Dance'라는 영제를 가지고 있다. Last Dance는 말 그대로 해석하면 마지막 춤이라는 뜻이지만, 주로 쓰이는 스포츠에선 마무리를 잘하자는 의미로 말하곤 한다. 이 영화에선 제르맹과 리즈의 관계 그리고 노년이라는 시간이 겹쳐져 있을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해석이 가장 알맞을 것 같다.
웃음도 제르맹의 몫이지만 슬픔과 감동도 그의 몫이다. 톰 행크스가 주연으로 분한 에서 아내를 먼저 보낸 노인 오토가 아무렇지도 않게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는 게 아내만을 향한 사랑의 발로라면, 에서 제르맹이 결코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복잡다단한 감정에도 불구하고 현대 무용을 하는 것도 아내만을 향한 사랑의 발로다. 더 이상 이 세상에 없는 아내를 향한 사랑이 슬프고 또 감동적이다.는 사랑과 상실에 관한 이야기다. 그 중심엔 단연 제르맹이 있다. 그에게서 희노애락을 모두 느낄 수 있는 바, 와중에도 사랑을 느낄 수 있다는 게 특별하다. 그는 일반적으로 사랑의 감정이 많이 사라졌다고 여겨지는 노인인 데다가, 그마저도 사랑하는 아내가 세상을 떴으니 말이다. 사랑의 깊이뿐만 아니라 넓이 또한 생생하게 전해져 온다.
상실에 따른 슬픔은 이루 말할 길이 없다. 애착하는 물건을 잃어도 슬프고 허망한대 하물며 평생의 사랑인 아내를 잃은 슬픔과 허망함이랴. 그럼에도 보내 줘야 한다. 다른 누구도 아닌 내가 말이다. 그리고 그건 다른 누구도 아닌 내가 할 수밖에 없고 나만이 할 수 있다. 사랑의 크기만큼, 아니 사랑의 크기보다 상실의 크기가 더 클 수도 있을 텐데 문제는 '어떻게' 보내 주느냐일 것이다.영화는 제르맹과 리즈를 이어주는 춤이라는 요소로 상실을 극복하는 모습, 그러니까 남편이 사랑하는 아내를 보내 주는 모습을 그린다. 충분히 절절하게 전할 수 있을 텐데, 그렇게 전하는 게 더 쉽고 편할 텐데, 영화는 유쾌하게 보여 주려 한다. 톤 앤 매너를 잡는 게 매우 어려웠을 것인데, 성공해 냈다. 죽은 자의 죽음에 천착하지도 않고 남은 자들의 슬픔에 천착하지도 않다. 대신 그들을 이어주는 편지와 춤에 천착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라스트 골' 모우라의 낭만적인 엔딩... 이번엔 손흥민이 들어 올렸다!모우라가 쐐기골을 넣자 손흥민을 비롯한 동료들은 벤치를 박차고 일제히 모우라에게 향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레까지 비 더 많이 온다…장마도 아닌데 계속 주룩주룩5월의 마지막 일요일인 28일, 기상청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비가 온다고 예보했습니다. 이번 비는 내일(29일)과 모레(30일)까지 이어지면서 점차 강수량이 많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날씨] 연휴 마지막 날 전국 비…충남·전북 호우경보오늘(29일) 남부지방에는 호우경보까지 내려진 곳이 있다고요?[김민지/기상캐스터]네, 연휴 마지막 날인 오늘도 궂은비가 쏟아지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인 운전 사고, 면허 반납이 답?...'고령화 시대 맞춘 대책 필요'[앵커]최근 고령 운전자가 낸 교통사고가 잇따라 사망사고로 이어지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매년 65세 이상 면허 소지자가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고령화 시대에 맞는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안동준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도로를 달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