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초·중·고교에 이어 영유아와 ‘엔(n)수생’ 사교육비 실태 파악에 나선다. 그간 사교육비 통계가 초·중·고 학생을 둔 ...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연합뉴스 교육부가 초·중·고교에 이어 영유아와 ‘엔수생’ 사교육비 실태 파악에 나선다. 그간 사교육비 통계가 초·중·고 학생을 둔 가구만 대상으로 작성된 탓에, 사교육의 저연령화나 ‘엔수생’ 증가 추세에 대응하기에 역부족이라는 문제 인식에 따른 것이다. 정의당 정책위원회가 24일 분석한 ‘교육부 2024년도 예산안·기금운용계획안’을 보면, 교육부는 내년 ‘유아 사교육비 조사 사업’에 예산 5억6000만원을 편성했다. 이는 영유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영유아 사교육비를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오는 11월까지 기초연구를 진행하고 내년에 실태 조사를 한 뒤 2025년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현재 이뤄지는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표본비율의 절반 수준인 0.7%를 조사해 통계를 작성하는 표본조사 방식이다.
그래서 그동안 유아 사교육비 상황은 육아정책연구소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국책연구기관의 간헐적인 조사에 의존해 부분적으로만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었다. 교육부는 이와 함께 ‘엔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사업에도 내년 예산 1억원을 편성했다. 2025년 엔수생 사교육비 시범조사를 시행하기에 앞서 조사 방식과 대상 등 조사 모델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2024학년도 수능 응시생 50만4588명 가운데 소위 ‘엔수생’으로 불리는 졸업생과 검정고시생은 17만7942명으로 199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문·이과 통합수능이 치러지기 시작한 2022학년도 수능부터 엔수생 비중이 크게 늘었지만, 이들의 사교육 부담에 대한 정확한 실태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교육부는 “엔수생의 경우 개념·범위에 대한 선행연구가 없고, 모집단 확보 등에서도 여러 쟁점이 발생할 수 있어 폭넓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심층적인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법원 “도심 하천 초등생 익사···‘안전 소홀’ 지자체도 손배 책임”도심 하천에서 초등학생이 물에 빠져 숨진 사고와 관련해 관리 주체인 지자체의 손해배상 책임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김행이 준 동업자 퇴직금…법원도 ‘경영권 인수 대가’로 봤다김행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00% 지분을 갖고 있는 ‘소셜홀딩스’가 공동창업자였던 공훈의씨에게 지급하기로 한 퇴직금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폭도·공비' 왜곡 논란 4·3 표지석 첫 정비[앵커]제주도가 4.3 왜곡 논란이 일고 있는 옛 경찰지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