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위험 높아 개통 못한 지산IC '패쇄 아닌 재활용'

대한민국 뉴스 뉴스

사고위험 높아 개통 못한 지산IC '패쇄 아닌 재활용'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사고위험 높아 개통 못한 지산IC '패쇄 아닌 재활용' 지산IC 광주광역시 강기정 안현주 기자

지산IC 진출로는 민선 7기 당시 공사비 77억원을 들여 폭 6.5m·길이 670m 규모로 완공됐으나 낯선 1차로 왼쪽 진출과 인근 터널에서 빠져나와 진출로까지 이격거리가 18m에 불과해 일반 진출로에 비해 교통사고 위험이 9.9~14.3배 높을 것으로 예측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9일 오후 동구 제2순환도로 지산IC 진출로에서 현장 설명회를 열어"사고 위험 탓에 폐쇄를 고민했지만, 시설물을 활용해 안전하게 재이용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았다"고 밝혔다.왼쪽 진출이 아닌 오른쪽 진출 방식을 택하면서도 교통사고 원인으로 지목된 터널과의 이격거리를 인지 반응 시간 확보에 필요한 최소 거리 이상인 215m 확보해 위험도를 낮췄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대안은 기존 진출로 시설물 90% 이상을 다시 활용해 예산 낭비 요인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건설된 조선대학교 사범대 진입도로와 연결해 교통체계를 효율화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먼저 2025년 개통을 목표로 하행 진출로를 오른쪽에 개설해 조선대 진입도로에 연결하는 1단계 사업비는 총 111억원으로 추산되지만 기존 왼쪽 진출로를 재사용한 비용을 제외하면, 49억원만 추가 투입될 전망이다.

강 시장은"지산IC 진출로 사업은 안전이 무시되고 관행으로 이뤄진 잘못된 행정의 대표 사례"라며"1%의 위험도 지나치지 않아야 100% 안전한 광주를 만들 수 있다. 이번 대안으로 안전 확보에 더해 폐쇄시설을 재활용한 사업비 절감, 인근 도로와의 연결성 향상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산IC 진출로는 광주시가 지산유원지 활성화와 무등산 관광객 및 시민의 교통편의 제공을 위해 2018년 9월 착공했다. 하지만 민원 해결 과정에서 오른쪽 진출로가 왼쪽으로 변경되고, 진출 방식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개통이 미뤄졌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남산 소나무 힐링숲, 4월부터 예약 없이 입장 가능남산 소나무 힐링숲, 4월부터 예약 없이 입장 가능남산 소나무 힐링숲, 4월부터 예약 없이 입장 가능 소나무힐링숲 손병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짝퉁 쿠쿠' 말고 또 있다…북, 개성공단 공장 30곳 무단가동 | 중앙일보[단독] '짝퉁 쿠쿠' 말고 또 있다…북, 개성공단 공장 30곳 무단가동 | 중앙일보공단 폐쇄 당시 우리 기업이 미처 회수하지 못한 원자재까지 임의로 사용하는 정황을 확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 69시간’ 입법예고 종료, 국민 반발에 ‘대규모 설문조사’ 추진‘주 69시간’ 입법예고 종료, 국민 반발에 ‘대규모 설문조사’ 추진'제도 폐기하라' 의견서 냈더니 '정말로 폐기하라는 건 아닌 것 같다'고 해석한 노동부 장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5 19:4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