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특정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2차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다만 여전히 이주 노동자 충원이 대책의 핵심을 차지하는데다 근로 조건 개선 역시 열악한 일자리를 기피하는 움직임을 되돌리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서울의 한 건설현장에서 노동자들이 일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 정부가 건설업, 해운업, 수산업 등 특정 산업에서 벌어지고 있는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한 ‘2차 빈 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첫 대책 발표 이후 4개월여만에 나온 대책으로, 애초 대상이었던 6개 업종에 4개 업종을 더하고,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데 앞선 대책보다 좀 더 무게를 뒀다. 다만 여전히 이주 노동자 충원이 대책의 핵심을 차지하는데다 근로 조건 개선 역시 기존 내용을 종합한 수준에 그쳐 열악한 일자리를 기피하는 움직임을 되돌리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제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발표했다. 빈 일자리는 현재 사람을 구하고 있으며 한 달 이내 일이 시작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빈 일자리는 지난해 이후 급격하게 증가해 지난 5월 기준 21만4천개에 이른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보다 3만개 이상 많다.
1차 대책은 △제조업 △물류운송 △보건복지 △음식점업 △농업 △해외건설 등 6개 대분류 업종을 중심으로 마련됐다. 노동자의 특정 일터 기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근로조건 개선을 앞세운 것도 1차 대책보다 좀 더 나아간 지점이다. 다만 노동조건 개선의 구체적인 내용은 이미 나와 있는 대책이거나 실효성이 떨어지는 반면, 외국 인력 활용을 위한 규제완화가 여전히 대책의 핵심을 차지하는 모습이다. 노동 조건 개선과 관련해 제시된 대책은 건설 현장 편의시설 설치기준 확산, 수산업과 관련된 어선과 작업장 현대화 등이다. 외국 인력 확보와 관련해선 임금 체불 등 문제가 있는 건설 사업주의 단순외국인력 고용 제한 사유를 대폭 완화해 주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외국인력 공급 확대 방안은 새로 추가된 업종들 모두에 인력난 해소 대책으로 포함됐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박완수 도지사, 시장군수들과 '수산업-청년 대책' 등 논의박완수 도지사, 시장군수들과 '수산업-청년 대책' 등 논의 경상남도 정책회의 박완수_도지사 시장군수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동훈 '외국인 숙련근로자 한국에 기여할 제도 만들겠다' | 연합뉴스(영암=연합뉴스) 정다움 기자=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10일 인력난을 호소하고 있는 조선업 현장을 찾아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해수욕장 샤워 한번에 2만원… 휴가철 노린 '바가지 요금''아이 두 명만 1만5,000원에, 그것도 찬물로… 찜질방 딸린 목욕탕보다 비싼 게 말이 되느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8살 연상 韓 남편의 무한 외조' 스롱, PBA 새 역사 창조통산 6번째 우승으로 다승 단독 1위에 올랐다 당구 스롱피아비 여자당구 우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김영호 통일장관 후보자 ‘정부 통일방안’까지 부정[아침을 여는 한겨레] 2023년 7월 11일 화요일 ‘정부 통일방안’까지 부정한 통일장관 후보 👉 읽기: “신규 원전 검토” 윤 정부 공식화 👉 읽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