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가 무산되었지만, 한국의 신용등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비상계엄 조치가 촉발한 정치 혼란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했으며, 이는 금융시장에 불안한 영향을 미쳤다.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한국의 정치 안정성이 신용등급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해왔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이 요인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고개 숙이는 경제관계장관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관계장관회의 참석자들과 합동브리핑에 앞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최 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준헌 기자 heon@kyunghyang.com"> 고개 숙이는 경제관계장관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관계장관회의 참석자들과 합동브리핑에 앞서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최 부총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준헌 기자 heon@kyunghyang.com
금융시장은 4일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정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외국인 매도 행렬로 한때 2440선까지 밀렸고, 원·달러 환율은 2년여 만에 달러당 1410원대로 올라섰다. 실제 피치는 지난해 8월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하면서 미 ‘의사당 폭동’ 사건을 배경으로 지목했다. 2021년 1월6일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불복하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연방의회 의사당에 난입해 폭동을 일으킨 사건이 미 정치환경 양극화를 부각시켰다는 것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 2일 더불어민주당이 내년 예산안 단독 감액안 처리를 강행하자 “예산 등 정책 결정 과정의 불확실성이 국가신용등급에 부정적 영향을 준 해외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비상계엄 사태가 당장 대외신인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아직 경제에 미치는 파장이나 지속 기간 등을 평가하기에는 이르다”고 말했다. S&P도 이날 NICE신용평가와의 공동세미나에서 비상계엄 선포로 한국의 신용등급 강등을 고려하진 않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S&P, 한국 비상계엄 사태에 실질적 영향 없다고 평가국제 신용평가사 S&P가 한국의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평가를 밝혔습니다. 비상계엄이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이 한국의 신용등급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로 국민들 우려 증폭윤석열 대통령이 민생 토론회 방문 후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이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와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비상계엄 관련 포고령 내용은 국민 기본권 침해로 받아들여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요 각국 정부, 대한민국 비상계엄 선포에 우려 표명윤석열 대통령이 45년 만에 비상계엄을 선포하며, 주요 각국 정부가 이에 대한 우려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는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으며, 일본과 영국 등에서도 비상계엄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국제기구와 외국 정부들의 우려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유엔, 유럽연합, 러시아, 영국 등이 이를 주시하며 우려를 표시했다. 그러나 국회는 비상계엄 해제 결의안을 통과시켜 상황을 종료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요국, 한국 여행자들에게 비상계엄 경보 경고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미국,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뉴질랜드 등 세계 주요국들이 한국 여행자들에게 여행 경보를 상승시키거나 주의를 당부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해제 발표에 대한 우려 제기일본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 해제가 한일 협력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는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하여 일본 총리의 방한 일정이 연기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을 반영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