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꽃놀이 인파가 싫다면... 이런 꽃길은 어떠세요? 고양서오릉 세계유산 서어나무숲길 명릉 익릉 이혁진 기자
2일 일요일 오전, '고양 서오릉' 입구에서 입장하는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말했다. 새봄을 맞아 벚꽃놀이에 사람이 몰리니 인파를 피해 능을 찾았다는 것이다. 실제 어제 여의도 벚꽃축제엔 50만 명이나 몰렸다는 소식이다. 서오릉은 '조선왕릉군'답게 조용했다. 찾는 이들도 가족 단위 아니면 우리 같이 노년층이 많았다. 관람객들은 쫓기거나 조급함이 전혀 없었다. 서오릉의 봄꽃은 그렇게 화려하지 않지만 발길을 멈추게 하는 매력이 있다. 능참봉 집 진달래가 은근히 손짓을 보내고 있었다. 오랜만에 찾은 서오릉은 예전과 달리 소나무나 참나무 등 군락지를 곳곳에 조성했다. 이것들이 연출하는 사계절은 왕릉의 단조로움을 극복해 줄 것이다. 나무들이 내뿜는 기운은 관람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될 것이다.
특히 서오릉 익릉 북쪽의 '서어나무숲길'은 산책 명소로 유명하다. 약 2킬로미터를 걸어보니 딴생각할 겨를이 없다. 숲길에서 서어나무와 봄꽃들을 즐기는 사람들은 한 폭의 그림 같다. 동창들은 기념으로 사진 몇 장을 스마트폰에 담았다. 중고등학교 시절, 학교가 인근에 있어 서오릉에 자주 소풍 왔다. 지금은 능에 출입을 못하도록 바리케이드를 쳤지만 당시엔 능에서 자유롭게 놀았다. 도시락을 친구들과 까먹고 보물찾기도 했다. 지금 봄꽃들이 만개해 꽃놀이가 한창이다. 혼잡한 사람들을 피해 호젓한 꽃길을 원하면 주변 가까운 왕릉을 찾아가길 권하고 싶다.
한편 서오릉은 '세계유산' 지정 이후 보존과 관리가 잘되고 있는 편이다. 그러나 아쉬움도 있다. 첫째 용어 표현이 혼란스럽다. '원비'를 '왕비', '계비'를 '두 번째 왕비', '둘째 계비'를 '세 번째 왕비'로 각각 이해하기 쉽도록 통일해야 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병상의 라이프톡] 거짓말은 하지 않았다 | 중앙일보거짓말하지 않는다고 해서 진실을 말한 건 아닙니다. 특히 정치인은 기자에게 모두를 털어놓지 않습니다.\r거짓말 진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런 꼴 TV서 봤는데' 놀란 주민들…인왕산 잔불 진화는 아직 | 중앙일보갑작스레 대피한 개미마을 주민들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습니다.\r서울 인왕산 산불 화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이 키가 더 커졌어요'…주사까지 맞으면 정말 더 클까 [더스페셜리스트]아이 있는 부모라면 혹할 수밖에 없는 이런 광고들, 한 번쯤 보셨을 것입니다. 건강보조식품 먹거나 주사 맞으면 아이들 키 커질 수 있다는 것인데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비원은 석달짜리 파리 목숨'…갑질 시달리는 '제2의 인생'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최윤선 수습기자='70, 80 넘은 사람들이 어디에 이력서를 내겠어요. 내봤자 이런 데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MZ세대론, 이거 차별인가요?“MZ세대를 기존의 세대와 구분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주로 개념없는 개성있는 이기적인 사람들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런 것도 차별이라고 할 수 있나요? 차별이라면 누가 누구를 어떤 정체성으로 차별하는 것일까요?”다양성훈련을 하는 중에 이런 질문을 받았다. 이에 대한 답은 누가 누구를 뭐라고 부르는지, 특정한 꼬리표가 붙은 사람들의 특성이 무엇이라고 규정되는지, 사회가 그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왜 그렇게 하는지, 왜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여겨지는지를 살펴보면 찾을 수 있다. 어느 누구도 단 하나의 정체성만 가지고 살아가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왕산 등산객·주민 '대피령'...'60년 만에 이런 일 처음'서울 도심 큰 산불…등산객·인근 주민 ’대피령’ / 인왕산 산불 확산 우려로 120여 가구 주민 대피 / 긴급구조통제단 설치…주요 등산로 출입 통제 / 인왕산 인근 자하문로 일부 구간 차량 통행 통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