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공간? 역사공간?…관람 열기 속 靑 보존·활용 방안 '아직'
"개방 효과는 이미 확인, 다음 단계 고민해야…관람객 수 제한 시급"그러나 청와대를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청사진'이 나오지 않는 가운데 과도한 관람 열기가 자칫 역사적 공간 훼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하루 평균 약 1만9천 명이 청와대를 찾아 역대 대통령의 업무와 거주 공간을 직접 본 것이다.청와대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어떤 방침이나 방향이 제시되지 않은 탓이다.
현재 청와대 권역은 문화재청이 대통령실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임시로 관리 중인데, 향후 계획과 관련해선 경내 대통령 기념식수, 노령 수목 집중 관리 등 일부 내용만 내놓았을 뿐이다.관저 둘러보는 시민들실제로 지난 16일 찾은 청와대 권역에서는 관람 규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 모습이 곳곳에서 보였다. 지난 6월 공개한 '청와대 관람 등에 대한 규정'에 따르면 수박, 참외 등의 과일류를 반입할 수 없다고 돼 있으나 일부 관람객은 벤치에 앉아 수박을 먹으며 씨를 뱉었고, 이를 제지하는 사람은 찾기 어려웠다.학계 안팎에서는 경복궁 후원이라는 역사적 공간이자, 최고 권력자가 사용한 정치 공간인 청와대가 일제강점기 만들어진 위락시설인 '창경원'처럼 단순한 유희의 장소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임시 관리 주체인 문화재청과 관계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청와대를 어떻게 활용할지, 누가 관리할지 등을 두고 엇갈린 견해를 보여 조율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당시 박 장관은 '대통령실, 문화재청 등 관련 부처 및 민간 전문가들과 정밀하게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지만, 문화재청은 같은 날 청와대 관련 내용을 담은 보도자료를 배포하기로 했다가 연기했다.
김종헌 교수는"지금까지 청와대와 관련한 내용이 조사된 적이 거의 없다"며"이제부터라도 관람객을 최소한으로 제한하거나 아예 차단해서 향후 활용·관리를 위한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안창모 교수는"지금처럼 짧은 시간에 폭발적으로 관람객이 몰리면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기도 전에 훼손될 가능성이 커진다. 그야말로 위험한 상황"이라며 향후 관리 방안에 대한 고민이 시급하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유럽 챔스팀 맞대결이 눈앞에서'…토트넘-세비야 열기도 '후끈' | 연합뉴스(수원=연합뉴스) 최송아 기자=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득점왕 손흥민(30)의 소속팀 토트넘이 몰고 온 '축구 열기'가 서울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임 美대사, 첫 주말 韓체험…삼계탕 맛보고 KBO올스타전 관람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필립 골드버그 신임 주한 미국대사가 부임 첫 주말을 맞아 초복 삼계탕을 먹고 KBO 올스타전을 관람하는 등 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장마 아직 안끝났다…오늘 밤부터 제주·남부 중심 30~100㎜ | 연합뉴스오늘 밤부터 모레까지 제주·남부지방 중심 장맛비 17일부터 19일 오전까지 정체전선을 동반한 저기압이 남부지방을 지나면서 전국이 흐리고 제주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전국에 비가 올 전망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개딸 환호 속 출정식…검경 직격 '동네 선무당 굿하듯'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정윤주 기자=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상임고문이 당대표 출마 선언을 한 17일 소위 '개딸'로 불리는 지지자들이 국회로 몰려들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헤어질 결심' 속 탕웨이처럼…중국동포 간병인 20만명 | 연합뉴스'헤어질 결심' 속 탕웨이처럼…중국동포 간병인 20만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