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한국 3대 교역국 3위로 상승

경제 뉴스

베트남, 한국 3대 교역국 3위로 상승
베트남교역국한국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63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3%
  • Publisher: 51%

한국 수출은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면서 베트남이 한국의 3대 교역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지난해 한국-베트남 무역규모는 583억 달러로 중국(2천729억달러)과 미국(1천999억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한국의 반도체 수출 증가가 베트남 3위 교역국으로의 상승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지난해 한국 수출이 사상 최대를 경신한 가운데 베트남 이 중국과 미국에 이어 한국의 3대 교역국 자리를 지킨 것으로 나타났다.6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의 무역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對) 베트남 수출은 583억달러로 전년(535억달러)과 비교해 9.1% 증가했다.이 같은 교역 규모는 1위 중국(2천729억달러)과 2위 미국(1천999억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것이다. 중국의 32%, 미국의 43% 수준에 해당한다. 지난해 교역량 증가율은 베트남 이 9.3%로, 미국(6.9%), 중국(1.9%), 일본(1.1%) 등 주요국을 모두 제치고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의 대 베트남 무역수지는 299억달러 흑자로, 전년(276억달러)보다 그 규모가 23억달러 커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한국의 최대 흑자국인 미국(557억달러)에 이어 2번째로 큰 것이다.

베트남서 첫 한국인 투자 항만개발사업 본격 시작 (서울=연합뉴스) 미투이국제항만(MTIP) 합작투자회사가 지난 2020년 베트남 중부 꽝찌성 남동경제구역에서 미투이항 건설사업 기공식을 하고 본격 항만조성 준비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MTIP는 베트남 현지 한국 투자사가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다. 2020.2.28 photo@yna.co.kr한국의 지난해 1∼11월 대베트남 반도체 수출액은 16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6.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된다. 반도체 외에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103억달러·9.7%↓), 석유제품(25억달러·22.0%↓) 등의 수출은 줄었으나 무선통신기기(23억달러·16.9%↑), 합성수지(21억달러·18.0%↑) 등은 증가하면서 전체 수출이 증가했다.수교 당시 5억달러에 불과했던 양국 교역 규모는 30년 이상 지난 현재 150배 넘게 커졌고, 교역 품목 또한 직물, 의류 등 노동 집약 상품에서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진화했다.2014년 당시 베트남은 한국의 8위 교역국에 불과했지만, FTA가 발효된 2015년에 4위로 올라선 데 이어 2022년에는 일본(853억2천만달러)을 제치고 처음 3위에 올랐다.특히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스마트폰 물량의 50% 이상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베트남 전체 수출의 20%가량을 차지하는 현지 최대 외국인직접투자(FDI) 기업으로, 2022년 하노이에 대규모 연구개발(R&D) 센터를 개소하는 등 투자를 늘리고 있다.최근 한국무역협회 호찌민 지부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관세청 통계에서 지난해 1∼11월 기준 한국은 베트남의 2위 수입국이자 3위 수출국에 올랐다.또한 베트남 수입에서도 최대 수입국 중국(1천305억달러)에 이어 한국(511억달러)은 2위 자리를 지키며 대만(207억달러), 일본(196억달러), 미국(136억달러)을 훌쩍 뛰어넘었다. 베트남의 해외관광객 수에서도 한국인은 전체 관광객(1천580만명)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410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중국(335만명), 대만(118만명), 미국(70만명) 등을 크게 앞선 숫자다. 홍지상 한국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은'한국의 무역·수출에서 미국과 중국 등 G2 비중이 높은 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언급하는 것이 아세안인데, 아세안의 대표 주자가 베트남이라 할 수 있다'며'베트남 역시 한국이 중요한 교역 파트너인 만큼 양국이 신뢰를 바탕으로 성장에 필요한 새로운 협력 관계를 단계적으로 발전시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베트남 교역국 한국 반도체 수출 무역 경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합뉴스, VNA와 협력해 베트남어 뉴스 서비스 내년 시작연합뉴스, VNA와 협력해 베트남어 뉴스 서비스 내년 시작(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한국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연합뉴스가 베트남 관영 베트남뉴스통신(VNA)과 협력, 인공지능(AI) 기반의 베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연준 금리 인하 속도 조절, 한국 금융시장 요동미국 연준 금리 인하 속도 조절, 한국 금융시장 요동미국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발표로 인해 한국 금융시장이 큰 흔들림을 겪고 있습니다. 증시 하락,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달러 환율,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 찍어… 한국 경제 불안 요소원/달러 환율,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 찍어… 한국 경제 불안 요소원/달러 환율이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한국 경제 불안 요소로 꼽히고 있다. 반면, 엔화 약세는 일본 증시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5년 한국 증시 전망: 상승 추세 예상, 트럼프 리스크와 AI 변화 주목2025년 한국 증시 전망: 상승 추세 예상, 트럼프 리스크와 AI 변화 주목2024년 부진했던 한국 증시가 2025년 상승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 부진과 수출 둔화, 트럼프 2기 정책 리스크 등 여러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조선, 방산, 전력, 플랫폼 기업 등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 특히 AI 변화 흐름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AI 관련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1월 주담대 금리 4%대 지속…네 달 연속 상승11월 주담대 금리 4%대 지속…네 달 연속 상승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대출금리는 전월대비 0.09%포인트 오른 4.76%로 3개월 연속 올랐다. 주담대를 금리 조건별로 살펴보면 고정형 주담대 금리는 4.31%로 전월보다 0.27%포인트 올랐다. 금융권에서는 12월 들어서는 은행의 가산금리 인상이 미미해, 주담대 금리 등 가계 대출 금리가 비슷하거나 하락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스피, 이틀째 올라 2,440대 회복…코스닥 2% 상승(종합)코스피, 이틀째 올라 2,440대 회복…코스닥 2% 상승(종합)(서울=연합뉴스) 이민영 기자=코스피가 11일 탄핵 정국의 불안 지속에도 불구하고 기관의 매수세에 이틀째 올라 2,440대를 회복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13:4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