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 등 유관기관은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기업공개(IPO) 및 상장폐지 제도 개선 공동 세미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 중 정량적 평가에 해당하는 시가총액(코스피 50억원·코스닥 40억원)과 매출액(코스피 50억원·코스닥 30억원) 기준이 너무 낮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금융당국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장폐지 기준이 되는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을 크게 높이기로 했다.
금융 당국 IPO ·상폐 개선안 주가가 낮거나 매출이 안 나오는 ‘좀비 기업’은 이제 주식 시장에서 사라진다. 금융당국이 상장폐지 라는 ‘채찍’을 동원해 국내 주식 시장 저평가 문제를 해소하기로 하면서다.
현재 상장폐지 여부를 가르는 기준은 ▶시가총액 ▶매출액 ▶감사의견 미달 크게 3가지다. 이 중 정량적 평가에 해당하는 시가총액과 매출액 기준이 너무 낮아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많았다. 상장폐지 매출 기준도 시가총액처럼 높아진다. 코스피는 50억→300억원으로, 코스닥은 30억→100억원으로 각각 올라간다. 단기간에 매출을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2029년까지 단계적으로 요건을 강화하기로 했다.
밸류업 상장폐지 기준 시가총액 기준 코스피 기준 금융 당국 IPO 상장폐지 시가총액 매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오겜' 상금 456억원 있으면 상장사 1000개중 골라 산다구멍가게 수준 한계기업 '탈락' 못시켜…상폐 시총기준 17년째 제자리화폐가치 상승조차 적용 안돼美나스닥 기준, 코스피 14.6배'좀비기업 솎아내야 증시반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 순위, 밸류업, 바이오 급부상올해 코스피 시총 상위 10개 종목 순위에서 밸류업 정책 수혜주 금융주와 바이오주 시가총액이 크게 증가했고, 2차전지주는 세계적인 전기차 캐즘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다. HG현대중공업과 KB금융이 새롭게 상위 10개에 진출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산난사 증시’ 널널한 퇴출 기준 한몫…2015년 이후 시총·매출 미달 상폐 0건2010년부터 집계해도 5건에 불과 ‘고의 상폐’ 의혹 기업 등 문제기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밸류업 지수 1000 돌파 못해, 코스피 대비 양호성 기대밸류업 ETF 12개 종목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코리아 밸류업 지수도 지지부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IPO·상장폐지 제도 개선 방안 공개·금융당국, '좀비기업' 퇴출 가속화금융당국은 '좀비기업'의 증시 퇴출을 가속화하고 상장 유지 요건을 강화하는 한편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을 확대하는 등 IPO·상장폐지 제도개선 방안을 공개했다. 이번 제도 개선안은 7월부터 시행 예정이며, 세미나 이후 업계에서는 선의의 피해가 없도록 면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밸류업 ETF, 코스피 능가했나?한국 증시가 불안정 속 나몰라하는 시장, 밸류업 ETF는 코스피보다 나은 성적을 보였나요? 머니랩이 밸류업 ETF의 성장과 현황을 살펴봤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