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837m)을 찾는 등산객의 오랜 아지트이자, 1980~90년대 대학생이 뻔질나게 드나들던 엠티 촌이 우이동이었다. 소위 ‘아재’ 세대에게 ‘등산’ ‘MT’ ‘백숙’ 따위가 우이동의 연관 검색어였다면, MZ세대에게 우이동은 ‘북한산 인증샷’ ‘마운틴뷰 호텔’ ‘카페 데이트’ 등의 태그로 더 친숙하다. 요즘은 북한산우이역(경전철 우이신설선) 앞에 있는 서울 도심 등산관광센터가 ‘산린이(등산+어린이’)와 외국인 등산객을 맞는 허브로 통한다. - 우이동,우이동유원지,엠티촌,파라스파라,북한산,영봉코스,서울도심등산관광센터,북한산우이역,카페 릴렉스,하이그라운드,산아래,mz세대
서울에서 젊은 시절을 난 사람이라면 북한산 아랫마을 우이동에 관한 추억 하나쯤은 누구나 갖고 있다. 북한산을 찾는 등산객의 오랜 아지트이자, 1980~90년대 대학생이 뻔질나게 드나들던 엠티 촌이 우이동이었다. 어쩌면 우이동은 서울에서 가장 서울답지 않은 동네였다. 북한산 서쪽 자락에 틀어 앉은 이 동네에선 고층빌딩보다 산등성이가, 화이트칼라보다 등산복 차림의 탐방객이 더 흔히 보여서였다. 동네 면적의 80%가 북한산 국립공원의 품이다.
4대를 이어온 한정식집 ‘옥류헌’도, 40년 내력의 능이백숙집 ‘청산가든’도 그렇게 카페가 됐다. 연수원을 고쳐 대형 베이커리 카페로 거듭난 ‘하이그라운드 제빵소’도 있다. 도심에선 보기 힘든 ‘신상 계곡 뷰’ 카페와 빵집은 MZ세대 사이에서 금세 입소문이 났다. 지난가을에는 주말 하루 가게마다 1000명 이상이 몰려들었단다. 낡은 유원지가 코로나로 답답한 일상을 보내던 젊은 층의 새로운 아지트로 거듭난 셈이다. 군사정권 시절 정·재계 인사가 은밀히 드나들었던 북한산 도선사 인근의 요정 ‘선운각’도 지난해 한옥 카페로 거듭나며 손님 몰이에 나서고 있다.
14개 동 334개 객실, 야외 수영장 따위를 갖춘 럭셔리 리조트의 등장으로 북한산과 우이동을 즐기는 문화도 사뭇 달라졌다. 김선희 문화해설사는 “등산복 차림의 탐방객 못지않게 쫙 빼입은 나들이객의 비중이 높아졌다”고 요약했다. 북한산이 더는 정상 등정만 노리고 찾아오는 산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이제는 북한산을 내다보며 노천욕을 할 수 있고, 동동주와 파전이 아니라 파인다이닝과 달콤한 디저트로 산행을 마무리할 수도 있다. 등산‧아웃도어 문화의 유행이 최근 MZ세대까지 확대된 영향이 무엇보다 크다. 소셜미디어에서는 ‘북한산’이 MZ세대의 전유물이 된 지 오래다. 서울 도심을 내다보는 인생 사진 명소이자, 레깅스룩·고프코어룩 등 다양한 멋을 뽐내는 아웃도어 패션의 성지로 거듭났다. 국내 입국 규제가 대폭 완화된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외국인 등산객도 부쩍 늘었다. 김선희 문화해설사는 “TV 예능을 통해 북한산 풍경이 해외에도 입소문이 퍼져 외국인 등산객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말했다.요즘은 북한산우이역 앞에 있는 서울 도심 등산관광센터가 ‘산린이와 외국인 등산객을 맞는 허브로 통한다. 등산용품 대여 서비스를 비롯해 샤워실과 탈의실, 짐 보관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해 9월 개관해 어느덧 5000명 가까운 인원이 들었다. 방문객 대부분이 20~30대 젊은 층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개그맨의 무모한 도전? 이경규 평생의 '꿈'이었다[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영화] 이경규 '감독'의 유일한 연출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산] 확 달라진 해미읍성축제... MZ세대 북적'고?성?방?가(古城放佳)-"옛?성에?아름다움을?풀어놓다"' 주제로 펼쳐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꽃축제 대낮부터 빼곡…안전 우려에 인파관리 앱도 등장주최자 한화, 인파관리 앱 개발·안전인력 16% 확대곳곳 경찰…인파위험 우려한 이들 카페·숙소 택하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꽃축제 한강변 빼곡…안전 우려에 인파관리 앱도 등장주최자 한화, 인파관리 앱 개발·안전인력 16% 확대곳곳 경찰…인파위험 우려한 이들 카페·숙소 택하기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문 전 대통령 “2019년 6월까지 부동산 정책 선방…정책 신뢰 잃은 것 뼈아프다”문재인 전 대통령이 7일 자신의 집권 시절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무엇보다 정책의 신뢰를 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