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민족(배민)·쿠팡이츠 등 배달 앱 기업의 중개수수료 인상이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판매가격 인상, 이중 가격제 도입 등으로 이어지고 있다. 22일 버거·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맘스터치는 오는 24일부터 버거, 치킨 등 모두 62종의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22일 버거·치킨 프랜차이즈 업체 맘스터치는 오는 24일부터 버거, 치킨 등 모두 62종의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다. 버거는 300원, 치킨은 500원이 각각 오르고 사이드 메뉴는 100원 인상한다. 맘스터치는 지난해 3월에도 싸이버거 등 가격을 인상했고, 같은 해 10월 닭가슴살을 원료로 쓰는 버거 4종의 가격을 올린 바 있다.
이날 맘스터치는 “이번 가격 조정은 배달 플랫폼들의 수수료 인상에 따른 점주들의 수익성 악화와 인건비·공공요금 등 매장 운영에 드는 제반 비용의 고른 상승으로 매장 경영의 어려움을 토로해온 가맹점주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부득이하게 진행됐다”고 설명했다.배민과 쿠팡이츠가 배달 중개수수료를 6.8%에서 9.8%로 올리자, 최근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판매 가격 인상과 함께 배달앱에서 주문하면 가격을 더 받는 이중 가격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현재 맥도날드, 버거킹, 케이에프시 등이 이중 가격제를 택하고 있다. 이날 판매 가격을 올린 맘스터치 역시 현재 이중 가격제 도입을 검토 중이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전체 가맹점주들의 의견을 수렴해 몇몇 직영점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배달 가격 인상 여부는 테스트 진행 후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배달 인기 메뉴인 치킨의 경우 소비자들의 반발을 우려해 이중 가격제 도입을 두고 눈치를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배달 수수료 인상으로 가맹점주들의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본사가 가격 인상이든, 이중 가격제든 아무것도 안 하고 버틸 수만은 없을 것 같다”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수수료 인상이 계속되면서 자체 앱 개발과 홍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한편, 오는 23일 제8차 상생협의체를 앞두고 배민 운영사 우아한형제들은 중개 수수료율 9.8%에 해당하는 대상을 매출액 20% 이내로 하고, 20~80%는 수수료율 6.8%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아한형제들이 제출한 기존 상생안은 매출액 상위 60% 이내는 9.8%, 60~80%는 6.8% 적용했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쪽은 “이미 6.8% 배달 중개수수료도 입점업체들이 고통스러워하는 상황에서 9.
매출액을 기준으로 수수료율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두고 ‘역차별’ 우려도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지역별로 저매출, 고매출 매장이 달라질텐데, 차등 수수료율을 적용하게 되면 어떤 가맹점은 수수료를 상대적으로 많이 내는 등 현장에서 혼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퀵커머스 배송’ SSM·편의점까지 퍼지나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 확산 ‘퀵커머스’ SSM·편의점 배달앱 의존도 커져 “입점 재계약시 수수료 인상 걸림돌 될 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 뜯긴다 자영업 하지마 친구야”…국감장 나오는 배달앱 대표들배달 수수료 갈등 실마리 찾을까 ‘이목집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출 적은 사장님, 수수료 조금만”…배달 보이콧에 배민 결국배민, 차등 수수료안 제시 매출 따라 낮은 수수료 적용 쿠팡이츠 등 상생안에도 관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달료에 '이중가격 확산'…롯데리아도 배달주문가격 차등화(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외식업계에서 배달앱 수수료 부담으로 인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 메뉴 가격보다 비싸게 책정하는 이중가격제가 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쿠팡, 배달수수료 ‘차등 적용’ 검토···수수료 갈등 물꼬 틀까배달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수수료 인하 요구가 거센 가운데 쿠팡이츠가 배달수수료를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쿠팡이츠는 관련 내용을 정부가 운영하는 배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생' 안 보이는 배달앱 상생협의체…논의 장기화하나(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배달앱 이용 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을 완화하고 배달앱 운영사의 일방적인 수수료율 인상 등을 방지하고자 가동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