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만 하면 대형 인명피해…반복되는 어선 전복 사고
일반적인 기관 고장, 침몰 등에 비해 배가 빠르게 가라앉아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안전대책 및 교육 강화가 시급하다.자망어선 166건, 기타 127건, 통발어선 96건, 연승어선 66건, 채낚기 어선 57건, 낚시어선 29건 등이다.6대 중대사고에 속하는 충돌은 95건, 화재는 60건, 좌초는 51건, 침수는 49건, 전복은 18건, 침몰은 8건이다.2021년에도 전체 어선 사고 718건, 사망·실종자 30명 중 전복 사고가 25건 15명으로 큰 인명피해를 낳았다.승선원 12명 중 3명은 사고 직후 구조됐으나 5명은 선내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4명은 아직 실종 상태다.지난해 10월 18일 새벽 제주 서귀포시 마라도 남서쪽 해상에서는 29t급 갈치잡이 어선 A호가 뒤집힌 채 해경에 의해 발견됐지만 실종 선원 4명은 끝내 발견되지 않았다.이들 사고는 자연재해가 아니라 대부분 인재로 드러났다.
실제 지난해 인명 피해 사고들의 원인을 살펴보면 원인미상 7명, 과적 5명, 기상악화 4명, 운항 부주의 4명, 운항 과실 관련 기타 1명, 원인미상 화재 1명으로 막을 수 있는 사고가 많았다.사고 당시 파고 0.5∼1m 등 기상에는 큰 이상이 없어 선체 파공 또는 균열, 어구 과적 가능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청보호는 평소 소라와 문어를 잡는 통발을 2천500∼2천700개 실었으며 사고 당시에는 바다에 쳐놓았던 통발을 일부 회수해 3천개 넘겨 실려 있었다는 증언이 있었다.또 선박에 화물을 최대한 실을 수 있는 한계를 표시한 '만재흘수선'을 넘기지 않아야 한다. 정회성 기자=5일 낮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대비치도 서쪽 해상에서 해군과 해경 수색·구조대가 청보호 전복사고 실종자를 찾고 있다. 24t급 인천 선적 통발어선 청보호는 전날 오후 11시 19분께 전남 신안군 임자면 재원리 대비치도 서쪽 16.6㎞ 해상에서 전복됐다.
해수부가 개발·보급한 근해통발어선 표준선형은 길이 33.2m, 폭 7.1m, 깊이 2.6m로 확대했으며 지하에 있던 선원실을 1층으로 변경하고 출입로를 넓혀 비상시 선원들의 탈출을 보다 쉽게 했다.통발어선 선장 김모씨는"배는 길다고 더 안전한 것은 아니고 짐을 다 싣고 해수면에서 1m∼50m 위로 올라와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어느 정도 깊이가 확보되는 것이 좋고 적재물을 적당히 실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선장 윤모씨는"소형 어선 선원들은 평소에 안전 훈련 기회가 적어 위험에 더 크게 노출돼있다"며"대형 선박처럼 자체적으로 훈련하기 어려운 여건인 만큼 권역을 묶어 정기적인 출장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명 실종된 청보호 전복 사고, 선체 안에서 5명 찾아…4명 수색중9명 실종된 청보호 전복 사고, 선체 안에서 5명 찾아…4명 수색중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보호 선실서 추가 발견된 2명, 50대 한국인 선원 | 연합뉴스(목포=연합뉴스) 장아름 기자=청보호 전복 사고 사흘째인 6일 선실 내부에서 추가로 발견된 실종자 2명은 모두 50대 한국인 선원으로 확인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보호 출항 전 선체 하부 도색…해경 '육안상 파공 안보여' | 연합뉴스(목포=연합뉴스) 장아름 기자=실종 선원들을 찾기 위한 사고 어선 '청보호'(24t·인천 선적) 인양 작업이 시작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청보호 물살 약한 안전지대로 이송 중…7일 오전 5시께 도착 | 연합뉴스(목포=연합뉴스) 천정인 기자=전남 신안 해상에서 뒤집힌 어선 '청보호'가 인양을 위한 안전지대로 옮겨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역 대형병원 전공의 부족 심화…소아과는 붕괴 직전 | 연합뉴스(전국종합=연합뉴스) 전국 대형 병원을 중심으로 전공의(레지던트) 미달 사태가 잇따라 의료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