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장례지도사 강성일의 첫 책은 동물을 위한 장례 문화에 대한 깊은 통찰력과 감동적인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13년 동안 동물의 마지막을 배웅하며, 획일적인 장례 문화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하고, 타국의 문화를 감상하며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의 경험은 초롱이라는 반려동물과의 추억에서 시작되었고, 희망찬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개코는 무지개다리를 건너기 일주일 전, 침대 위에 올라와 별안간 안겼다. 겨드랑이가 뚫릴 기세로 파고들어서 '이 녀석, 오늘따라 왜 이래' 싶은 밤이었다. 일주일 후 반려묘 개코는 급성 췌장염을 앓다가 우리 부부가 퇴근하고 돌아온 저녁, 품에서 숨을 거뒀다. 세월호 10주기 도보 행진을 하며 애도의 마음을 다진 게 엊그제 같았는데, 절대 잊지 말라는 듯 개코의 기일은 4월 16일이 되었다. 믿을 수 없는 봄이었다. 다음 날인 17일 새벽 6시, 반려동물 장례식장으로 차를 몰았다. 작년에 먼저 무지개다리를 건넌 둘째 반려묘 찌찌의 장례를 치른 경험이 있기에, 우리 부부는 침착했다. 더 대비해야 할 건 장례를 치르고 돌아와 내 삶을 견뎌내는 것. 실제로 개코가 가고 난 뒤 밥을 먹다가 속수무책으로 터진 눈물에 무너지는 날들이 이어졌다. 함께한 15년은 짧지 않았다. 인간보다 몸이 작다고 존재까지 작은 건 아니었다.
동고동락했던 두 할아버지 고양이를 떠나보내면서 몰랐던 직업의 세계도 알게 되었다. 연차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 출근 전 신새벽에 들렀던 반려동물 장례식장에는 반려동물 장례지도사들이 있었다. 예를 갖춰 장례를 안내하고, 동물의 시신을 수습하고, 염습을 하고, 화장을 하고, 유골함을 인도하는 과정까지 애도의 길잡이가 되는 사람들. 공손한 몸짓과 얼굴에 깃든 노동이 쉬 잊히지 않았다. 동물의 죽음에 예우를 갖춰 일하는 사람들 동물을 위한 장례식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그 뒤로도 스치듯 떠올랐다. 두 차례나 반려동물 장례지도사들의 묵묵한 새벽녘 노동을 경험하면서 이 일의 세계를 그린 책이 없을까 찾아보았다. 지금껏 누군가 쓴 책으로 몰랐던 노동의 세계를 접하는 일이 대다수였지만, 이번에는 그 노동을 가까이 목격하고 도움을 받은 사람이 되어 호기심이 생겨났다. 는 그렇게 만난 책이다. 저자 강성일은 반려동물의 마지막을 배웅하는 일을 한 지 13년 차에 접어든 반려동물 장례지도사. 한국반려동물장례연구소 소장으로 일하며 올바른 반려동물 장례 정보를 제공하고 반려동물 장례식장 윤리 경영을 실천하고자 힘쓰고 있다. 저자는 우리가 익히 알지 못했던 반려동물의 죽음 이후 일어나는 일과 장례 절차, 동물 장례 문화의 대안을 제시한다. 반려동물 장례지도사라는 말조차 낯설었던 시기, 주변의 반대를 무릅쓰고 버틴 시간을 고백한다. 2022년 기준 전국에 약 60개소 운영되는 반려동물 장례식장의 현황과 시급한 국내 반려동물 정책 또한 조망한다. 저자가 장례지도사가 되기로 마음먹은 출발점은 반려동물 '초롱이'. 청년 시절, 군에 입대한 후 IMF 타격으로 가세가 기울자 저자의 부모님은 초롱이를 파양한다. 그 사실을 늦게 안 저자는 내내 미안한 마음을 간직해오다가 초롱이의 삶이 평안하길 오래 소망하게 되었다고. 이후 평범한 청년 시절을 보내던 그는 좋아하는 일을 해야 행복할 수 있다는 글귀를 본 뒤 직업적 전환기를 가진다. 초롱이와의 기억을 소환해 반려동물 관련 일을 공부하기로 결심한다. 초롱이의 안녕을 빌어온 마음이 동물을 위한 일을 할 수 있을 거란 기폭제가 되어 준 것. 획일화된 장례 문화, 의료폐기물이 되는 또 다른 동물의 현실 저자는 경기도의 한 동물 화장터에서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당시만 해도 동물을 위한 장례는커녕 동물의 사후 수습이 대부분이었고, 추모 절차 없이 유골을 정리하는 일에 저자는 회의감을 품는다. 더 나은 방법이 있을 거라 여긴 끝에 저자는 타국의 동물 장례 문화를 살피기 위해 일본으로 견학을 간다. 반려동물 장례 문화가 십 년 먼저 정착한 일본에서 저자는 경이로움을 느낀다. 향내 가득한 추모 공간에서 목탁을 두드리는 스님과 '온전한 존재'로 예우받는 강아지의 장례 모습을 맞닥뜨리고 신선한 충격을 받는다. 외딴 곳이 아닌 동네 가까이 위치한 장례식장에서 애도하는 장례지도사의 경건한 노동을 머리에 새기고 돌아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길 잃기 안내서: 호모 비아토르:길 위의 독서 마지막 회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통과, 혼란 속에서 '길 잃은' 우리의 이야기, 호모 비아토르:길 위의 독서 마지막 회는 '길 잃기'에 대한 이야기로 마무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려동물 장례지도사, 그리고 초롱이의 기억개코 반려묘의 죽음을 계기로 반려동물 장례 문화와 장례지도사의 노동을 탐색하게 된 기록. 저자의 과거 반려동물과의 교감 경험을 통해 얻은 동물과의 공감과 소망이 동물을 위한 일을 시작하게 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신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한국인들: 위로와 치유를 위한 이야기한국인의 정신건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자살률의 높은 수준을 지적하며, 정신과 치료를 받는 사람들의 수와 이를 받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다룹니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허찬희 원장의 견해와 조언을 소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토니 퍼델의 창조 과정: 성공은 복제 가능한가?토니 퍼델이 창업자의 멘토로 나서며 저술한 『빌드(Build) 창조의 과정』을 통해 실패와 성공의 중요성, 그리고 고객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한 창조 과정에 대한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퇴 후 두근거리는 인생, 여행으로 찾다조정선 전 PD가 은퇴 후 스페인과 체코에서 한 달 살기를 경험하며, 새로운 인생을 찾기 위한 여행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로스차일드 남작과 그의 박물관: 밸푸어 선언과 자연사의 탐험라인올이 친구들과 함께 이스라엘 건설을 위한 밸푸어 선언을 도입하며, 자연사 컬렉션을 구축하고 세계를 누비는 그의 탐험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