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日·네덜란드에 직접 압박…對中반도체 연합전선 총력전
바이든 대통령은 17일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와의 정상회담에서 대중국 반도체 수출통제 문제에 대해 거론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백악관은 회담 결과 자료에서는 반도체에 대한 언급 없이 두 정상이 국가 안보 및 경제 번영 차원에서 안전한 공급망 확보 및 핵심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인도태평양조정관은 이날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토론에서"바이든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에게 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연구했고, 적절하게 대응하고자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며"우리 모두 만족했고 대화는 매우 건설적이었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앞서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중국의 반도체 생산기업에 미국산 첨단 반도체 장비 판매를 금지하고 인공지능 및 슈퍼컴퓨터에 사용되는 반도체 칩에 대한 수출을 제한하는 포괄적인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다.
전세계적으로 첨단 반도체 장비 수출 업체는 KLA, 램 리서치,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등 3곳의 미국 업체에 더해 네덜란드의 ASML, 일본의 도쿄일렉트론 등이 5대 업체로 분류되고 있다.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은 지난달 13일 브리핑에서"우리는 반도체 기술 문제에 깊은 이해가 있는 국가를 비롯해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과 우리의 맞춤형 제한 조치의 이유와 내용 등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면서"우리는 일본, 네덜란드는 물론 다른 나라와도 그런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람 이매뉴얼 일본 주재 미국 대사는 지난 10일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우리가 단순히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을 통해 작업해야 하는 게 분명하고 네덜란드도 통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미국과 이들 국가간 대중국 반도체 수출 관련 다자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와 관련, 도미타 고지 주미일본대사는 이날 CSIS 토론에서"산업계와도 긴밀하게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이는 매우 복잡한 문제"라면서"기술뿐 아니라 경제적 측면에서 접근이 조심스럽게 진행 중이며, 향후 몇 주 안에 이 문제와 관련해 진전이 이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그러면서"그래서 미국이 2년간 압박해왔고 우리가 이제 거기에 서명할 거라고 봐선 안된다. 우리는 안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이든 사저' 출입자 공개 요구에 백악관 '개인 거주지라 없다'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부통령 시절 기밀문건 유출 사건에 대한 공화당의 정보 공개 압박이 거세지는 가운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하원 장악한 공화당 입법공세에 바이든, 법률거부권 '엄포'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미국 하원을 장악한 공화당이 입법권을 내세워 조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견제하기 위한 공세적 입법에 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공화 '바이든 압수수색은 언제 하나'…연일 '내로남불' 공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미국 공화당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사저 등에서 잇따라 부통령 시절 기밀문서가 발견된 것을 계기로 16일(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미일본대사 '對中 반도체 수출통제 관련, 수주내 진전 기대'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경희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최근 백악관 정상회담에서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통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바이든, 日이어 네덜란드 총리와 對中 반도체 수출통제 논의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마르크 뤼터 네덜란드 총리는 17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하고 우크라이나 지원을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다보스에 시큰둥한 정상들…바이든·시진핑·푸틴 등 대거 불참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16일(현지시간) 세계경제포럼(WEF·다보스포럼) 연차총회가 막을 올렸지만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