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부 정권이 2021년 2월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지 4년이 지났다. 미얀마 안팎에서 독재에 맞서 싸워온 미얀마인들은 지난 연말 한...
사진 크게보기 미얀마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한국시민사회단체모임 회원들이 3일 서울 성동구 주한미얀마대사관 무관부 앞에서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맞선 봄의 혁명 4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미얀마군 대위였던 린텟아웅은 2021년 13년 동안 몸담은 군을 나와 태국으로 도망쳤다.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은 미얀마 군부의 명령을 도저히 따를 순 없었다고 했다. “군부가 군인을 이용해 시민들을 죽이는 걸 참을 수 없어서 시민불복종 운동을 시작했어요.” 2년간 군부를 피해 숨어살던 그는 한국으로 왔다. ‘민주주의 모범국가’로 불리는 한국에서 민주화운동을 이어갈 생각이었다. 두 나라의 차이는 고국을 떠난 미얀마인들에게 뼈아프게 다가왔다. 한국 계엄군은 한밤중 뛰쳐나온 시민들에게 막혔지만, 미얀마에서 군은 시민을 때리고 체포했으며, 이들을 향해 발포했다. 여의도와 광화문을 가득 메운 응원봉 물결도 미얀마의 현실과 달랐다. 린텟아웅은 “미얀마 사람들도 평화집회를 하고 싶어하지만 군부가 때려죽이기 때문에 모일 수가 없다”며 “자국 시민을 죽이는 군부에 맞서 무장투쟁을 벌여야만 한다”고 했다.미얀마 군부는 지난달 국가비상사태를 또 6개월 연장했다. 올해 상반기 총선이 제대로 치러질 가능성은 사라졌다. 그러나 린텟아웅은 비상계엄이 5시간여 만에 해제된 한국을 보며 희망을 느꼈다고 했다. “시민들의 힘이 모이면 민주주의를 향한 공격도 별수 없다고 느꼈어요. 미얀마도 또다시 쿠데타가 일어나지 않게, 설령 일어나더라도 6시간 만에 끝낼 수 있도록 준비하면 되겠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윤석열·한동훈 ‘검사정치’윤석열·한동훈 ‘검사정치’, 검사, 정치인, 계엄, 탄핵…尹·韓, 애증의 30년 비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얀마 쿠데타 4년... 곳곳에서 '봄혁명 투쟁' 계속미얀마(버마) 군부 쿠데타 4년째를 맞아 한국 거주 미얀마인과 시민사회가 '봄혁명'을 염원하며 '민주주의가 꽃필 때까지' 싸우겠다고 천명했다. 2021년 2월 1일 민 아웅 흘라잉(Min Aung Hlaing) 총사령관을 비롯한 군부가 쿠데타를 일으켰고, 미얀마는 현재 군부가 집권하고 있다. 미얀마에서는 군부에 반대하는 무장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동칼럼]전시작전통제권에 대한 반성적 회고지난 12·3 계엄 사태 이전의 1년은 한반도에서 전면전이 발생할 수도 있는 아주 위험한 상황이었다. 2023년 11월에 합동참모본부는 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울산, 계엄 논란 심화…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 탈당 요구12.3 내란 사태 이후 울산지역 시민들의 계엄 반대 여론이 커지고 있지만,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계엄 옹호 입장을 고수하며 김상욱 의원의 탈당을 요구하는 등 여론을 호도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얀마 봄혁명, 평범한 청년들의 투쟁2021년 쿠데타 이후 미얀마에서 벌어지는 봄혁명에 참여하는 다섯 청년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 '시원한 생맥주 한잔'에 대해 소개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민주주의를 잃기 힘든 봄혁명, 시위 참여, 군사훈련, 시민방위군 활동, 소수민족과의 연대, 국제사회의 침묵, 군부의 탄압 등이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남교육청, 학교급식 노동자 상시직 전환 약속 이행하지 못해 불만경남교육청은 2022년 단체협약을 통해 학교급식 조리사와 조리실무사의 상시직 전환을 약속했으나, 이를 이행하지 못해 노동자들의 투쟁 수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