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긴축 우려에 코스피 1.7% 하락…환율 1,300원대 재진입(종합)
이지은 기자=22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장보다 28.09포인트 내린 2,430.87에, 코스닥지수는 10.59포인트 내린 782.83에 개장했다. 원/달러 환율은 10.3원 오른 1,306.2원에 개장했다. 2023.2.22 [email protected]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41.28포인트 내린 2,417.68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천440억원, 6천874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기관 중에선 금융투자가 5천69억원어치를 팔아치워 순매도 규모가 가장 컸다.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10.3원 오른 1,306.2원에 출발한 뒤 1,304.9원에 마감했다.
환율이 장중 1,300원대를 넘어선 것은 이달 17일 이후 3거래일만이며, 종가 기준 1,300원을 넘은 것은 지난해 12월 19일 이후 처음이다. 외환 당국은 이날 긴급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소집했다. 이날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고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에 재진입한 것은 미국의 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하다는 경제 지표가 잇따라 발표되면서 연준의 긴축 정책도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심화했기 때문이다.이경민 대신증권[003540] 연구원은"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돌파함에 따라 연초 이후 매수세를 지속한 외국인 투자자들에게도 환율이 부담되는 수준까지 올랐다"며" 차익 실현 압력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유가증권시장 시가총액 상위권에서는 전 종목이 하락했다.
국내 증시 대장주인 삼성전자[005930]를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하이닉스[000660],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 삼성SDI[006400], LG화학[051910], 현대차[005380] 등 모든 종목이 1% 넘게 하락했다.전 업종 중에서는 보험만 소폭 올랐다.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천64억원과 2천77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하며 지수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개인은 5천244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에코프로비엠[247540],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엘앤에프[066970], 에코프로[086520], HLB[028300], 카카오게임즈[293490], 펄어비스[263750] 등 10위권 내 대다수 종목이 하락했다[email protected]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1,300원 재돌파…외환당국, 시장점검회의 소집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미국의 긴축 장기화에 대한 우려로 22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자 외환 당국이 긴급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소집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달러 환율, 9.0원 급등한 1,304.9원…두 달 만에 1,300원대로원/달러 환율이 급등해 종가 기준 두 달 만에 1,300원을 넘어섰습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9.0원 오른 1,304.9원에 장을 마쳤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 증시 일제히 하락...'긴축 유지 가능성 커져'연준 통화 정책 방향 선회 가능성 작아져 / 노동시장·소비자 구매력 지표, 경기 확장 가리켜 / 1월 물가지수도 오름폭 커…연준 ’빅스텝’ 가능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추경호 '세금 올랐다고 주류가격 그만큼 올려야 하나'(종합)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곽민서 김다혜 기자=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소줏값 인상 등 동향에 대해 '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 러 핵군축조약 참여중단 선언에 '무책임…대화 준비돼 있어'(종합)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이상헌 특파원=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21일(현지시간) 러시아가 미국과 맺은 핵무기 통제 조약인 신(新)전략무기감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8년 6G 상용화 노리는 선진국들…우리도 R&D 2년 앞당긴다(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6G 상용화 시기를 2030년에서 2028년으로 앞당기려 노력하는 주요 선진국들의 추세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6...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