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 철수 리’ 18일 개봉
1973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중국인 살인사건이 났을 때 용의자로 체포된 이철수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한결같이 무죄를 주장했지만 종신형을 받았다. 그리고 몇년 뒤 교포사회를 중심으로 구명운동이 벌어지면서 투옥 10년 만에 무죄 석방됐다. 1980년대 한인뿐 아니라 아시안 커뮤니티 전체로 확산되며 미국 사회를 강타한 ‘프리 철수 리’ 운동의 결과였다.
그런데 미국 내 한인 역사에 이정표가 된 이 사건은 빠르게 잊혀졌다. 18일 개봉한 다큐멘터리 ‘프리 철수 리’는 그 이유에 대한 대답 같은 작품이다. 공동 연출을 한 한인 2세 하줄리, 이성민 감독은 성인이 되고도 한참 뒤에야 알게 된 이 사건을 학교뿐 아니라 어디에서도 배울 수 없었다는 게 의아했다고 한다. 지난달 방한한 이성민 감독은 “미국 사회에서 아시아계 이민자들의 이야기는 기록돼야 하는 것으로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책이나 학교 교육에서도 이 사건을 볼 수 없었다”며 “다음 세대에게 이 이야기를 남겨야 한다는 마음으로 연출에 나섰다”고 말했다. 영화 전공과는 거리가 멀었던 두 사람은 2014년 이철수의 장례식에서 만난 이경원 전 기자의 눈물을 보면서 ‘프리 철수 리’를 만들기로 결심했다.이경원 기자는 이철수의 구명운동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재미 언론인이다.
여기까지가 사건의 전말을 보여주는 영화의 전반이라면 후반은 석방 이후 이철수에게 닥친 또 다른 비극을 조명한다. 석방 초기 그는 ‘자유’의 상징이 돼 여러 자리에 불려 다니며 조명받고 격려받았지만 스포트라이트가 꺼지고 돌아가야 하는 일상에 끝내 적응하지 못했다. 영화는 여기서 왜 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철수를 둘러싼 겹겹의 질곡을 하나씩 펴 보인다. 한국전쟁과 아동학대, 부적응과 인종차별 등 한두가지로도 견디기 힘든 트라우마가 응축된 삶이었다. ‘프리 철수 리’는 이철수 사건을 완성된 승리담이나 영웅담이 아니라 그 그림자까지 성찰적으로 다루면서 영화적 깊이를 담아낸다.
하줄리 감독은 “싱글맘, 입양아, 탈북민, 또는 재소자 등 지금도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이철수’들이 있다. 오로지 한 인간을 구하기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의 힘처럼 사회적 약자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영화를 보며 생각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누구보다 이 영화를 기다렸던 사람은 이철수를 구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고 석방 뒤 이철수가 방황할 때도 계속 보듬었으며 그의 이야기가 잊히는 것에 가장 가슴 아파했던 이경원씨다. 한인 최초로 미국 주류 언론에 진출해 수많은 특종상을 수상하며 20세기 위대한 언론인 500명 중 한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올해 95살의 이경원씨는 “40년도 더 전에 지구에 사는 어떤 멋진 이들이 사회적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도 왕과 왕비, 대통령과 똑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함께 모여 싸웠다”고 당시의 구명운동을 회고하며 “이철수의 이야기는 오늘날 우리에게 꼭 필요한 시급한 이야기”라는 메시지를 한국에 보내왔다.끈질긴 언론,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후원제 소개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오보에 한때 3만달러 돌파비트코인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승인했다’는 오보 소동에 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상 받은 코로나 백신... 헌신짝처럼 버려진 약속[글로벌건강리포트] 과학 기술의 성과, 어떻게 공평하게 배분할지도 고려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태양광 패널이 끝이 아니다”…‘친환경 전력 패키지’ 기업의 꿈박흥권 한화큐셀 미 사업본부장 간담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동차세 기준, 배기량 → 차값”…실현 여건 안 따지고 질렀나윤 정부, 지난달 개선안 발표한·미 FTA ‘임의수정 불가’조항 안 바꾸면 실행 불가능 과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