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후보자가 한국과 일본을 지목해 “미국을 이용해 왔다”면서 외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생산을 유도하고자 관세를 적...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 후보자가 한국과 일본을 지목해 “미국을 이용해 왔다”면서 외국 기업들의 미국 현지 생산을 유도하고자 관세를 적극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정책을 총괄할 핵심 인사가 관세 무기화를 통한 미국 우선주의 통상 기조를 분명히 하면서 한국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또한 러트닉이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기 한국 기업들에 약속 또는 확정한 보조금 정책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내면서 이미 대미 투자를 확대한 한국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러트닉은 29일 상원 상무·과학·교통위원회 인준청문회에서 “우리의 위대한 동맹들은 우리의 선량함에서 이득을 취해 왔다. 일본의 철강, 한국의 가전 같은 경우 우리를 그저 이용했다”고 말했다. 러트닉은 이어 “이제는 그들이 우리와 협력해 미국으로 그 생산을 가져올 때”라며 “동맹들이 미국 내 제조업 생산을 늘리도록 긴밀하게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트닉은 자동차 등 미국이 중시하는 산업 이익을 위해서라면 동맹국에도 관세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도 시사했다. 그는 중국 외에 동맹에도 관세를 부과하는 것의 적정성을 묻는 취지의 앤디 김 상원의원의 질문에 “중국에 대한 관세가 가장 높아야 한다”면서도 “미국인들이 유럽에서 미국차를 팔 수 없다는 사실은 정말 잘못됐고 바로잡아야 한다. 그들은 우리의 동맹이지만 우리를 이용하며 존중하지 않기에 나는 이것을 끝내고 싶다”고 말했다. 한국에 대해서도 대미 무역흑자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자동차 부문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트럼프 취임식 참석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을 만나고 트럼프 취임식에 참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국 브랜드, 한국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서샤오미, BYD, 로보락 등 중국 브랜드들이 한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중국 내수 경기 불황과 미 중 분쟁으로 인해 해외 진출이 활발해진 상황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2기, 한국 수출에 지뢰밭? 보편관세 등 막연한 두려움미·중 갈등이 심화되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보편관세를 검토하며 한국 수출 기업들은 불안감에 휩싸입니다. 반도체, 자동차 등 주요 수출 품목들이 위협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美상무 지명자 '동맹 韓日이 우리 이용…美서 생산하게 하겠다'(종합)(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산업·무역 정책을 총괄할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 지명자는 한국을 포함한 동...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내 중국인들, 집회 참여 말라”…주한 中대사관 공지연일 집회 등 한국 정치혼란 속에서 자국민에 “관여하면 추방 가능성” 경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 LG전자 CES 2025 참가삼성전자와 LG전자는 2025년 CES에서 각기 다른 기술을 선보이는 등 한국 기업들이 CES에 적극 참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