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3.7% 상승, 5개월 만에 최대폭…경기반등 발목 잡나

대한민국 뉴스 뉴스

물가 3.7% 상승, 5개월 만에 최대폭…경기반등 발목 잡나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지난 4월(3.7%)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다 여름철 농산물 가격 상승이 겹쳐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하락 폭이 컸던 7월(-25.9%), 8월(-11.0%)보다 하락세가 둔화하며 역으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 경기반등,생활물가 상승률,소비자물가 동향,소비자물가,고물가,한국은행,소비자물가 지수,국제유가,근원물가,서비스 물가,스태그플레이션,금리 인상,물가

하락하나 싶던 물가가 다시 뛰기 시작했다. 고물가는 하반기 경기 반등의 뒷다리를 잡을 수 있다. 한국은행의 금리 운신 폭도 좁아졌다.

물가는 지난해 7월 정점을 찍었다. 올해 1월까지 9개월 연속 5%를 웃돌았다. 외환위기가 닥쳐 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가 됐던 1998년 이후 최장기 고물가 추세를 이어갔다. 1월 이후 둔화하다 6월 2.7%를 기록해 2021년 9월 이후 처음 2%대에 진입했다. 하지만 8월 다시 3%대로 올라선 뒤 재차 반등했다.가장 큰 배경은 국제유가 급등이다. 9월에 전년 대비 석유류값 하락 폭이 4.9%에 그쳤다. 하락 폭이 컸던 7월, 8월보다 하락세가 둔화하며 역으로 전체 물가를 끌어올렸다. 지난해 석유류 가격이 크게 오른 기저효과 영향이 예전만 못하다는 얘기다. 향후 물가 흐름 역시 국제유가 동향에 달려 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으로 구성하는 생활물가 상승률은 4.4%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올랐다. 농산물과 석유류 등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3.8% 올라 전달보다 상승 폭이 줄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월 소비자물가 3.7% 올라...5개월 만에 상승 폭 최대9월 소비자물가 3.7% 올라...5개월 만에 상승 폭 최대국제 유가 상승에 석유류 하락폭 축소 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소비자물가 3.7%↑...5달 만에 최대폭 증가9월 소비자물가 3.7%↑...5달 만에 최대폭 증가[앵커]고유가와 농산물값 강세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1년 전에 비해 3.7% 상승했습니다.두 달 연속 3%대 상승률인데요,앞으로도 물가 잡기가 쉽지 않아 보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소비자물가 3.7%↑…고유가에 5개월 만에 상승폭 최대9월 소비자물가 3.7%↑…고유가에 5개월 만에 상승폭 최대통계청, 9월 소비자물가동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창간 기획] ‘고금리=침체’ 공식 깨고 미국만 호황…글로벌 ‘각자도생’ 시대로[창간 기획] ‘고금리=침체’ 공식 깨고 미국만 호황…글로벌 ‘각자도생’ 시대로미국 연준, 기준금리 연 5.25~5.50% ‘최대’로 올렸지만 물가 상승 둔화·고용률 지표 양호·성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식음료에 교통비·난방비까지 인상? '앱테크'로 대응 [앵커리포트]식음료에 교통비·난방비까지 인상? '앱테크'로 대응 [앵커리포트]리포트로 보신, '3.7%'라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수치만 봐서는 공감되지 않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각종 가격표를 보면 훨씬 더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가가 끌어올린 물가 두달연속 3%대 오름세 - 매일경제유가가 끌어올린 물가 두달연속 3%대 오름세 - 매일경제itemprop=description content=9월 3.7%…10월엔 안정세 전망秋 '유류세 인하 두달 연장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4 12: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