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9월 소비자물가동향
통계청이 5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99로 1년 전과 비교해 3.7% 올랐다. 지난 4월 이후 5개월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물가상승률은 2022년 7월 6.3%로 정점을 찍은 뒤 올해 7월 2.3%까지 내려왔다가 8월에 다시 3%대로 복귀했다.
국제유가 상승이 국내 석유류 가격을 다시 끌어올리면서 물가상승률이 두 달 연속 오름폭이 확대됐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 하락폭이 8월에는 전년동월대비 -11.0%였는데 9월에는 -3.9%로 둔화됐다. 석유류 하락폭 둔화의 기여도가 0.3%포인트였다”고 말했다. 석유류 하락폭 둔화가 9월 물가상승률이 전월대비 0.3%포인트 끌어올렸다는 얘기다. 농축산물도 3.7% 올라 전월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농산물이 7.2% 상승해 2022년 10월 이후 11개월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사과 54.8%, 복숭아 40.4% 등 과실 가격이 크게 올랐다.
전기‧가스‧수도 및 교통 품목에서도 물가 상승폭이 두드러져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훨씬 높았다. 전기·가스·수도 가격은 직전 8월 대비 5.3%, 전년동월대비로는 19.1%나 각각 상승했다. 전년동월대비 가격 상승폭은 전기료, 도시가스, 지역난방비로 나타났고, 공공서비스에서도 택시료 및 시내버스료의 상승폭이 컸다. 가격 변동이 큰 품목을 조사에서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3.8% 오르며 상승폭이 전달보다 0.1%포인트 축소됐다. 경제협력개발기구 방식의 근원 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3.3%였다. 소비자가 자주 구매하는 품목 가격을 조사한 생활물가지수는 4.4% 상승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9월 소비자물가 3.7% 올라...5개월 만에 상승 폭 최대국제 유가 상승에 석유류 하락폭 축소 영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소비자물가 3.7%↑...5달 만에 최대폭 증가[앵커]고유가와 농산물값 강세로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1년 전에 비해 3.7% 상승했습니다.두 달 연속 3%대 상승률인데요,앞으로도 물가 잡기가 쉽지 않아 보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점점 커지는 美 긴축 공포…코스피·코스닥 2.4%, 4% 힘없이 추락 [이종화의 장보GO]美 10년물 4.8% 넘으며 16년 만에 최고 금리상승 부담에 코스피·코스닥 동반급락 美 8월 구인건수 시장 전망치 크게 상회 8월 국내 생산, 30개월 만에 최대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9월 소비자물가 3.7%↑…두 달 연속 3%대 기록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을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9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8월에 이어 3%대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이 오늘(5일) 발표한 '2023년 9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8월 생산 2.2%↑...반도체 반등에 30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앵커]지난 8월 우리나라 전산업 생산이 30개월, 2년 6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효과' 8월 산업생산 30개월 만에 최대 폭 증가[앵커]지난 8월 우리나라 전산업 생산이 30개월, 2년 6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