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검찰이 무소불위의 권력이 되기가 쉬운데 민주적 통제 방안을 고민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검찰에 대한 견제가 필요하다는 소신을 다시 한번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4일 청와대 여민관 집무실에서 손석희 전 앵커와 대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다만 문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이 검찰 기소권-수사권 분리 입법안 통과를 빠르게 추진하는 것에 대해선 “의견을 말하지 않겠다”고 답변을 피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저녁 방송된 손석희 전 앵커와의 대담에서 ‘검찰에 문제가 있다고 보는가’ 질문을 받고 “검찰의 정치화가 일단 문제”라면서 이같이 답했다. 문 대통령은 “검찰이 기소하지 않으면 처벌할 길이 없는 검찰 자신의 잘못에 대해서는 국민 누구나 알 정도로 검찰 사건의 기소율이 0.1% 남짓이다”고 지적한 뒤 “검찰에 대해선 그런 장치가 없고 유일하게 마련된 게 공수처가 있는데 아직도 힘이 굉장히 미약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검찰은 늘 무소불위인가’라는 손 전 앵커의 물음에는 “때때로 무소불위 아니였냐”고 반문했다.
문 대통령은 “법무부 장관으로서 특히 검찰에 오랫동안 몸을 담았던 분이 지금 진행되고 있는 검경수사권 분리에 대해 찬성하지 않는다거나 또는 그길로 가더라도 충분한 과정 거쳐야 된다거나 이렇게 말할수 있겠으나 ‘반드시 막겠다 저지하겠다’ 이런 식의 표현을 쓰는 것은 굉장히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 피해를 막겠다’는 취지로 한 것이라는 한동훈 후보자의 입장에 대해서도 “그냥 편하게 국민 들먹이면 안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진짜 국민을 이야기하려면 정말 많은 고민이 있어야 된다고 본다”면서 “대한민국의 정의를 어떤 특정한 사람들이 독점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문 대통령의 검찰에 대한 생각은 조국 전 법무장관 수사에 대한 답변에서도 드러났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문 대통령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는 바람직…중재안 합의 잘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안철수 “정치인들이 검찰 수사 받지 않게 한 것은 이해상충”“이 법이 통과되면 이행 과정 중에 범죄자들이 숨쉴 틈을 줘서 많은 국민이 피해를 입을까 우려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권성동이 검찰 수사권 합의 사과한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철수 “정치인 스스로 검찰 수사 안 받으려는 것…이해상충”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여야가 합의한 검찰 수사-기소권 분리 중재안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드러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