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가) 속도가 자동차 속도(100km)밖에 안 되고 육안으로도 식별이 됐는데 서울 상공을 휘젓고 다니고 강화도, 김포 일대 민가 인근까지 다 그냥 자유롭게 비행하도록 허용이 된 이유가 도대체가 뭐냐.” 북한무인기 군사전문가 김종대 🔽자세히 읽어보기
“우리 무인기 충돌로도 충분…압도적 항공 자산 투입할 일인지” 26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과 관련된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연합뉴스 북한 무인기 5대가 26일 서부전선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해 군사전문가인 김종대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가 “남한의 대비 태세에 허점이 무수히 많다는 걸 북에 알려버린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무인기를 잡기 위해 전투기까지 출격시켜놓고도 격추 작전에 실패한 것을 두고 “파리 한 마리를 망치로 잡으려는 식의 대응으로 오히려 잘못된 결과를 초래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날 북한 무인기 5대가 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한 대는 무사 귀환했고 네 대는 소실이 됐는데 이 정도면 작전 성공”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번 드론 사태에 우리가 가장 뼈아픈 대목은 남한의 대비 태세에 허점이 무수히 많다는 걸 북에 알려버린 것”이라며 “아주 나쁜 신호를 발신한 것”이라고 말했다.
공군이 무인기에 대응하려 띄운 KA-1이 추락한 것에 대해 “이런 건 정확하고 가벼운 대응이 필요한 것이지 그렇게 압도적으로 엄청난 항공 자산을 투입할 작전이냐도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우리쪽 무인기를 충돌시키는 등의 대응이면 충분하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스마트한 대비 태세를 강구했어야 됐는데 파리 한 마리를 망치로 잡으려는 식의 대응으로 오히려 잘못된 결과를 초래한 게 아닌가”라고 말했다. 또 북한 무인기가 한국 영공을 침범한 게 처음이 아닌데도, 군이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는 지적도 했다. 김 교수는 “당시 군에서 긴급대책을 한다고 각 교육사라든가 방공포 사령부 등에서 온갖 대응계획을 다 수립했는데, 제한적인 대비 태세만 하고 ‘북한 드론이 성능이 낮아서 무기로서의 기능이 거의 없다. 알고 보니까 그 정도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 했다”며 “군 당국의 정책이 왔다 갔다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북 무인기 격추 실패...軍, MDL 넘어 정찰자산 투입[앵커]5년 만에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를 격추하는 데 실패했습니다.민간 피해가 우려됐다는 건데요.군은 북한의 무인기 침범에 상응해 우리 유무인 정찰자산을 군사분계선 너머로 투입했습니다.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한연희 기자![기자]네, 국방부입니다.[앵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무인기' 6시간 뒤에 발표‥격추 어려운 이유?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한 게 처음은 아니지만 서울까지 들어왔고, 공항의 비행기 이착륙까지 중단된 건 이례적입니다. 그런데 군은 무인기를 발견한 지 6시간 정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무인기 수대 김포·파주로, 민가 근접 비행…군 격추 시도26일 북한 무인기 수대가 경기 김포·파주, 인천 강화 지역에서 군사분계선을 넘어와 군 당국이 격추·차단 작전을 벌였습니다. 북한 무인기가 한국 영공을 침범한 것은 2017년 6월 이후 약 5년6개월 만입니다. 북한 영공침범 🔽 자세히 읽어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