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의 '콘크리트 둔덕' 개량 공사가 제주항공 참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23년 9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진행된 개량 공사는 둔덕에 콘크리트 상판을 덧대어 로컬라이저를 더욱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러한 개량 공사는 사고 이후 항공기 착륙 시 로컬라이저의 안정성이 더욱 중요해지면서 공항 시설 보강의 필요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무안국제공항의 ' 콘크리트 둔덕 '이 지난해 개량되면서 윗부분에 콘크리트가 덧대진 점이 제주항공 참사 규모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가운데, 당시 개량 공사의 적절성이 향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2일 국토교통부와 엔지니어링 업계에 따르면 사고기가 부딪친 약 2m 높이의 둔덕은 착륙 시 활주로 진입을 돕는 방위각 시설( 로컬라이저 )을 고정하는 10여개의 콘크리트 기둥으로 이뤄졌다. 이런 콘크리트 둔덕 은 2007년 무안공항 개항 당시 처음 설치됐다가, 2023년 9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개량 공사가 진행되며 두께 30㎝의 콘크리트 상판이 얹혔다. 이 과정에서 상판의 둘레에는 콘크리트가 덧대져 더욱 단단해졌다. 결국 로컬라이저 는 확실히 고정될 수 있었지만, 둔덕이 견고한 구조로 보강된 점은 이번 사고의 인명 피해를 더욱 키운 원인으로 지적된다. 개량 공사는 무안공항 을 관리하는 한국공항공사가 2020년 3월 시설 개량 설계 용역 공고를 내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2007년 처음 설치된 로컬라이저의 내구연한(15년)이 가까워진 데 따른 것이다. 이 용역은 서울 소재의 A 설계업체가 낙찰받았다. A업체는 2020년 8월 공항공사에 제출한 실시설계 용역 종합 보고서에서'기존의 안테나 지지대를 보강 후 재사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에는 콘크리트 기초물을 재사용하고, 같은 소재인 콘크리트를 사용해 보강하는 방식이 타당하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공항공사 측은 밝혔다. 구체적인 시공 방법도 기술됐다는 설명이다. 이런 결론이 반영된 설계는 감리와 공항공사의 내부 승인 절차 등을 통과했고, 이후 무안공항을 관할하는 국토부 부산지방항공청의 사업 승인도 받았다. 콘크리트 상판을 추가한 개량 공사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비바람에 로컬라이저가 흔들려 항공기 착륙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정확한 보강 경위에 대해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A업체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무안공항 활주로 로컬라이저 개량 공사 설계를 맡은 것은 맞으나, 그 이상의 자세한 내용은 보안 규정상 말씀을 드릴 수 없다'고 말했다. A업체 측은 이번 사고의 본질은 개항할 때부터 있던 2m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이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업체는 무안공항처럼 콘크리트 구조물이 매립된 4m 높이 둔덕 위에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여수공항의 항행안전시설 개량 사업도 설계한 것으로 확인됐다. 향후 이번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와 경찰 수사에서는 애초 콘크리트 둔덕을 설치한 과정과 이에 콘크리트를 덧댄 경위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또 설계업체와 발주처인 공항공사, 부산지방항공청 등의 책임 소재가 가려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고를 들여다보는 전남경찰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수사본부는 이날 오전 무안공항 내 담당 부서, 부산지방항공청 무안출장소, 제주항공 서울사무소 등을 압수 수색을 하며 본격적인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제주항공 참사 무안공항 콘크리트 둔덕 로컬라이저 항행안전시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안공항, 둔덕 존재 미인지, 조류충돌 잦아 관제사 과부하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방위각시설 콘크리트 둔덕 존재 미인지로 조종사들의 착륙 시착 외 상황 불명확. 조류충돌 잦아 관제사 과부하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토부, 무안공항 콘크리트 둔덕 규정 위반 여부 ‘오락가락’ 책임 회피 논란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으로 지목되는 콘크리트 둔덕 설치를 규정 위반으로 밝히지 않고 책임 회피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 아침 무안공항 활주로 위에 새떼가 하늘을 뒤덮었다는 공항직원 증언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로컬라이저·둔덕, 규정 준수 논란무안공항 로컬라이저와 2미터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이 관련 규정을 준수해 설치되었다는 국토부 설명과 달리, 실제로는 제주항공 여객기가 충돌한 콘크리트 둔덕이 관련 규정을 위배해 설치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객기 충돌 콘크리트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 [제주항공 참사]여객기 충돌 콘크리트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 [제주항공 참사] -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활주로 끝 콘크리트 구조물 유일 원인 아닐 가능성해외 항공안전 전문가들이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의 원인으로 활주로 끝단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적. 조류충돌만의 원인은 아닐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