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비상착륙 중 활주로 끝에서 251미터 떨어진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에 부딪혀 추락한 사고, 이 방위각 시설의 설치와 재질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해외 항공 전문가들은 이러한 단단한 구조물이 활주로 근처에 설치되어서는 안 되며, 국제 기준과 위배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비상착륙하던 항공기가 최종 충돌한 방위각 시설물이 고강도 콘크리트로 지어져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방위각 시설이란 비행기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일종의 안테나인데, 이번 무안공항 사례처럼 그 아랫부분이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 으로 돼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콘크리트 둔덕 은 활주로 끝에서 불과 251미터 떨어진 곳에 있었다. 활주로 인근에 이런 구조물이 있는 건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안공항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의 위치와 재질, 강도의 적절성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기 시작한 건 해외에서부터였다. 항공 문제 전문가인 데이비드 리어마운트는 30일 영국 스카이뉴스에 출연해 '충격적이다. 착륙 시 조종사가 랜딩 기어를 내리지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그 자체가 탑승객들을 죽음에 이르게 한 직접적 원인은 아니다'라며'승객들은 활주로 끝을 바로 조금 벗어난 곳에 있던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사망한 것이다.
그곳은 그런 단단한 구조물이 있으면 안 되는 위치였다'고 말했다. 그는'구조물 위의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는 대개 땅에 고정돼 있지만, 충돌 시 비행기에 큰 손상을 주지 않도록 부러질 수 있게, 접힐 수 있게 설계된다'면서'그런데 이번에는 비행기가 견고한 구조물에 부딪혀 그대로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다른 나라들은 ILS(Instrument Landing System, 계기착륙장치) 안테나를 설치할 때 보통 콘크리트 구조물 안에 박아서 설치하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미국 등에서는 활주로 주변에 설치하는 안테나 등 구조물은 파손 가능하고 부러질 수 있어야 한다고 한다. 리어마운트는'상황을 고려할 때, 조종사는 아주 훌륭하게 비행기를 착륙시켰다'라며'비행기가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었지만, 땅을 미끄러지듯 내려왔다'고도 했다. 항공 사고 조사 전문가인 데이비드 수시도 미국 CNN 인터뷰에서'공항은 착륙 장비 없이도 착륙할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한다'라며'비행기가 활주로에서 벗어나 잔디로 미끄러지더라도 이런 종류의 장애물이나 장벽이 활주로 근처에 있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이번 사고의 경우 콘크리트에 설치된 조명시설이 정확히 그 자리에 위치했는지 아직 확실히 알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그것(콘크리트 시설)이 거기에 있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고 했다. 제주항공 참사 비행기와 같은 기종인 보잉 737-800을 조종한다고 전해진 우크라이나 출신 조종사 데니스 다비도프도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서'(제주항공 참사) 비행기는 활주로를 미끄러지기 시작했고, 활주로를 벗어나 로컬라이저 안테나에 부딪혔다'라며'(무안공항의) 이 안테나를 만든 사람들에게 질문이 있다. 왜 이렇게 튼튼하게 만들었나'라고 말했다. 그는'비행기가 이 두꺼운 철근 콘크리트에 의해 즉각 멈춰졌다. 이 벽이 얼마나 두꺼운지 보라'고도 했다. 그는'어떤 이유로 안테나를 높이 만들고 싶다면, 콘크리트가 아닌 (부러질 수 있는)금속 타워로 지을 수도 있다'고 했다. 항공 산업 전문가인 제프리 토마스도'활주로 근처에는 어디에도 벽이 있어서는 안 된다'라며'그 벽을 설치하는 것은 국제 기준에 위배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무안공항의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이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규정에 반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콘크리트 둔덕' 논란에… 국토부'정해진 규격 없다' →'근거 규정 파악 중' 국내 전문가들도 비슷한 의견이었다. 김인규 항공대학교 비행교육원 원장도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한 자리에서'사고 영상을 보시면 마지막 단계에서 그 둔덕에 부딪히면서 굉장히 큰 충돌이 일어난
제주항공 항공사고 무안공항 방위각시설 콘크리트 둔덕 착륙 ILS 국제 기준 ICAO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안공항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 참사 초래 논란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채 무안공항 활주로에 비상착륙하던 항공기가 최종 충돌한 방위각 시설물이 고강도의 콘크리트로 지어져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활주로 근처에 단단한 콘크리트 둔덕이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 문제이며, 국제기준에 위배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주요 원인으로 의혹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m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이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낮은 위치에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공항측은 사고에 대한 영향 여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참사,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 논란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시, 활주로에 비상착륙하던 항공기가 충돌한 방위각 시설물이 콘크리트로 지어져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참사,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관심 집중제주항공 여객기에 조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무안공항 참사 이후, 동남권신공항으로 추진 중인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참사,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대한 우려 증폭무안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으로 조류 충돌이 언급됨에 따라, 철새도래지인 낙동강 하구 인근에 지을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 여객기 사고, 활주로 인근 콘크리트 방위각 시설 관련 논란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현장에서 관계자들이 수색작업을 펼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사고 피해 규모를 키운 것으로 지적되는 활주로 인근의 콘크리트 재질 방위각 시설과 관련해 다른 국내 공항에도 설치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방위각 시설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설치 규정이 있고, 이를 파악하는 중'이라며 '재질이나 소재에 제한이 있는지, 사고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면밀히 파악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