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말라리아모기의 서식지가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말라리아모기 🔽 모기의 서식지 변화
지구기온 지속 상승이 확장의 바탕 사람의 피를 빤 직후의 아노펠레스모기. 위키미디어코먼스 열대지역 풍토병 가운데 하나인 말라리아는 암컷 아노펠레스모기를 통해서 전염되는 질병이다. 모기가 옮기는 질병 가운데 가장 무서운 축에 속한다.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원충은 단세포 기생충의 일종으로 숙주의 혈액세포를 파괴함으로써 치명적인 피해를 입힌다.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2021년 한 해에만 전 세계적으로 2억4700만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됐다. 이 가운데 약 62만명이 사망했다. 감염자와 사망자의 95%가 아프리카, 특히 사하라사막 이남 지역이다. 사망자의 80%는 5살 미만 어린이였다. 더 큰 문제는 지구 온난화로 말라리아모기의 서식지가 계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이다. 미 조지타운대 연구진이 지난 120년에 걸친 50만4313건의 말라리아 발생 데이터를 토대로 아프리카지역 모기의 서식지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올로지컬 레터스’에 발표했다.
7km씩 고위도지역으로 이동하고 해발고도도 매년 1.1m씩 오르고 있다고 밝힌 것보다 더 빠른 속도다. 당시 연구진은 이전보다 2~3배 속도가 빨라졌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연구진 추정대로라면 아프리카 모기의 서식지 확장 속도는 전 세계 육상생물 평균치의 2.8배나 된다. 연구진의 추정치를 대입하면 아노펠레스모기는 20세기 초보다 남극점에서 500km 더 가까운 곳, 해발 700미터 더 높은 곳까지 진출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사실 모기는 날아다니기 때문에 하룻밤에도 바람을 타고 수백km를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갈 수 있다고 해서 모두 현지에 적응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온도와 습도 등 해당 지역의 기후가 모기에 맞아야 생존할 수 있다. 기후 변화는 또 모기의 서식지뿐 아니라 모기의 출현 기간도 늘린다. 2021년 영국 런던위생열대의학대학원 연구진은 ‘랜싯’에 발표한 논문에서 아프리카 열대 고지대와 동지중해, 아메리대륙의 경우 말라리아 발생기간이 20세기 후반에 비해 1.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바이든이 받은 선물 중 최고가는…푸틴이 준 1550만원짜리 '이것' | 중앙일보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첫해인 2021년 외국 정상에게 받은 선물의 목록과 가격을 공개했습니다. \r미국 바이든 선물 푸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난 한해 지역 빛낸 영상 보도물 한 눈에지난 한해 지역 빛낸 영상 보도물 한 눈에 목요언론인클럽 제_1회_보도영상전 대전·세종·충남_영상기자회 심규상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맨유, 15년 만에 바르샤 격파…유로파 16강 진출유로파리그에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르셀로나에 역전승을 거두고 16강에 올랐습니다. 맨유가 바르셀로나와 맞대결에서 이긴 건 무려 15년 만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손흥민 길'이 답은 아니다…빅 리그 진출 성공 방정식 | 중앙일보프로리그에서 뛰는 선수들에게 메이저 축구 클럽에 진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r손흥민 축구 영국남자짐불리의EPL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