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군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 군인들을 드론으로 공격하는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북한 군인들은 드론에 대해 알지 못하고 쉽게 공격당하며, '좀비'처럼 전장을 휩쓸었습니다.
저 멀리 아래, 허허벌판 눈밭 위를 달리는 북한 군인들의 모습이 빠른 속도로 가까워진다. 일렬로 늘어선 점처럼 보이던 형상은 순식간에 눈·코·입의 형체를 갖춘 사람으로 바뀌고, 화면은 목표물 사살 직전 다른 장면으로 전환된다. 화면이 다시 시작된다. 광활한 눈밭 위를 또 다른 무리의 북한 군인들이 달리고 있다. 드론이 한 명씩 정조준하기 시작한다. 북한군 은 흩어져 달아나지만 드론이 계속 쫓아오자 겁먹은 표정으로 뒤돌아본다.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은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 을 드론으로 공격하는 영상을 지난 17일(현지시간) 공개했다.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가 실시간 전송한 영상은 흡사 게임 장면을 보는 것처럼 느껴진다. 실제 당시 드론을 조종했던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워싱턴포스트에 “마치 이지 모드(easy mode)로 컴퓨터 시뮬레이터를 플레이하는 것 같았다. 기괴한 경험이었다”고 말했다. 그만큼 북한군 이 겨누기 쉬운 목표물이었단 뜻이다.
러시아군은 드론 공격을 피하기 위해 숲속에 숨어 소규모로 이동하는 반면, 북한군은 엄폐물 하나 없는 들판을 수십명씩 무리지어 거침없이 달렸다. 우크라이나 군인들은 “그들은 마치 좀비처럼 우리에게 다가왔다. 북한군이 드론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았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다. 국가정보원은 19일 우크라이나전에 파병된 북한군 중 사망자가 최소 100여명, 부상자는 1000여명에 달할 걸로 보인다고 밝혔다. 북한이 1만1000여명을 파병한다고 밝혔을 때부터 군사 전문가들이 표했던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실전 경험이 부족하고, 러시아군과 언어가 통하지 않는 데다, 드론 공격에 대한 대응 능력이 부족한 북한 병사들은 러시아의 ‘총알받이’로 전락했다. 북한 병사들의 목숨을 대가로 김정은 정권은 대륙간탄도미사일·정찰위성 등의 기술 전수를 기대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꽃다운 나이의 북한 병사들은 그들이 싸워야 할 아무 이유가 없는 이역만리 전장에서 헛된 죽음을 당하고 있다. 드론 카메라에 잡힌 한 북한 병사 얼굴의 잔상이 떠나지 않는다. 그것은 죽음의 공포에 질려 있다기보다, 영문을 모르겠다는 듯 멍한 표정에 가까웠다. 우크라이나군이 드론으로 촬영한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 파병된 북한군 병사 모습.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옛 트위터) 게시물 갈무리. 1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이 페이스북을 통해 공개한 북한 군인들 상대 드론 공격 장면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DJI, 세계 1위 드론 제조업체의 전성기: 'DJI T70' 농업용 드론 소개중국 선전시 난산구에 위치한 DJI 본사에서 세계 1위 드론 업체인 DJI가 농업용 드론 'DJI T70'을 선보였다. DJI는 2006년 설립 이후 전 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카메라와 카메라 장비 시장 및 자율주행시스템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미국 안보에 ‘중국 마늘’이 위협?...美국방예산법 황당 개정안 눈길美국방예산법에 등장한 ‘中마늘’ 친트럼프 인사 릭 스콧 상원의원 “제복 입은 군인들 제 역할 못해” 미국 내 전면적 유통금지 주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김정은, 러시아에 장사정포 30% 공급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북한 핵심 전력의 일부를 러시아에 지원하였고, 이는 북-러 간 불량 동맹의 지속과 재래식 무기 현대화를 위한 조치로 분석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정은 “미국과 협상, 갈 데까지 가봤다…공존의지 없고 적대정책뿐”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거 미국과 협상한 결과가 확인한 것은 “공존의지가 아닌 적대적인 대조선(북한) 정책”이었다며 군사력 강화 의지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北 개입이 우크라전 복잡하게 만들었지만 난 김정은과 잘 지내”美 국무부 “북한 테러지원국 지정 유지” 발표 위장취업으로 자금송출과 돈세탁 관여한 북한 IT업체에는 현상금 최대 72억원 내걸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한, 러시아 파병 파문 속에서 내부 불안 증가북한은 주민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여러 법령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들은 북한 주민의 비판적인 생각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북한 정권의 통제력이 약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