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교수는 귀신이 등장하는 공간적 특성을 비롯해 귀신이 갖는 원한의 유형이 왜 다르게 발현되고 이를 해소하는 방법은 왜 다른지 인터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우리가 ‘미신’으로 치부하는 무속에 투영된 한국만의 문화적 특수성이 무엇인지, 무속의 뿌리인 북방 샤머니즘과 한국 무속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한국 무당은 왜 굳이 신을 인간 세계로 내려오게 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한 교수는 '한국만의 부모-자식 관계의 특성이 신과 무당, 인간과 무당의 관계에 투영됐다'고 설명했다.
VOICE:세상을 말하다 관심 전 세계 고인돌의 절반쯤은 한국 땅에 세워졌다. 삼국시대 서라벌엔 절과 탑이 가득했다. 21세기 대한민국 밤하늘엔 ‘십자가’가 가득하다. 유사 이래 대한민국은 줄곧 ‘신들의 나라’였다. 지난달 26일 만난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한국인이 지닌 강한 종교성의 발현 때문”이라고 원인을 짚었다. 한국인이 종교를 대하는 태도가 유독 다르다는 의미일까.보통 아시아권 국가에서 기독교는 인기가 별로 없다. 기독교 인구가 1~2%에 불과한 나라도 많다. 한국은 기독교 인구가 20~30%에 달한다. 동양 문화권 국가 중에서 유독 한국에서 기독교가 성행한 이유와 배경은 뭘까. 역사적으로 커다란 종교 갈등도 없었다. 한국인의 심성 탓일까. 물론 그만큼 사이비와 이단 신도도 많다고 한다. 한국인이 사이비와 이단에 유독 쉽게 빠지는 이유는 뭘까. 종교의 미래는 지금과 같은 모습일까.
한 교수는 “신뿐 아니라 귀신의 형태와 등장 배경, 귀신의 태도 역시 국가별로 다르다”고 했다. 한국과 일본, 서양 귀신은 각각 어떤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을까. 한 교수는 귀신이 등장하는 공간적 특성을 비롯해 귀신이 갖는 원한의 유형이 왜 다르게 발현되고 이를 해소하는 방법은 왜 다른지 인터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했다.4. 한국인이 유독 사이비에 쉽게 빠지는 이유앞서 상편 〈‘신내림’ 한국의 4대 저주술… 욕해도 무속 찾는 이유 있다〉에서 한 교수는 한국의 민속신앙인 무속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했다. 우리가 ‘미신’으로 치부하는 무속에 투영된 한국만의 문화적 특수성이 무엇인지, 무속의 뿌리인 북방 샤머니즘과 한국 무속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한국 무당은 왜 굳이 신을 인간 세계로 내려오게 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한국에서 굿은 ‘떼를 쓰는’ 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 소원을 들어줄 때까지 큰돈을 들여 성대하게 굿판을 벌인다. 어떤 문화적 특성이 투영된 걸까. 한 교수는 “한국만의 부모-자식 관계의 특성이 신과 무당, 인간과 무당의 관계에 투영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 우리는 늘 무속을 비난하면서도 교회나 절 대신 점집이나 무당을 찾는 경우도 많다. 이런 모순의 근본적인 이유는 뭘까. 흔히 무당이 되려면 ‘신병’을 앓는다고 알려져 있다. 무당은 다 그럴까. 신병은 정신병의 일종일까, 진짜 신과의 조우일까. 이 밖에 한 교수는 한강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뉜 한국 무당의 지역별 계보와 무당이 행하는 굿의 종류와 의미를 상세히 풀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무당은 어떤 계열에 속할까. 또 역사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국만의 저주 문화는 어떤 게 있는지, 구체적인 ‘저주술’은 무엇인지도 자세히 전했다.귀신의 모습은 왜 나라마다 다를까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韓줄기세포 기술 파킨슨병 치료법, 日의료기관과 손잡고 실용화(도쿄=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한국의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파킨슨병 치료법이 일본 의료기관에서 실용화돼 성과를 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경제, 비상계엄 해제에도 후폭풍 예상비상계엄 해제 이후에도 한국의 경제에 불안정 요인이 이어지고 있다. 국가 신인도 하락과 내수 침체, 수출 부진 등이 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민주주의의 역동성, 국제사회의 주목한국의 민주주의 역동성이 국제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계엄령은 한국 민주주의가 퇴행을 바로잡을 기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의 무속: 신을 모시는 나라한국은 민속신앙인 무속의 나라로, 다양한 신을 모시고 기도하는 문화가 있습니다.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무속을 통해 한국인의 욕망과 두려움을 해석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우크라전 해결 위해 한국의 개입 만류할 수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 2기 외교안보 진용 인선을 완료한 가운데 차기 미 행정부 한반도 관련 정책의 윤곽이 드러날지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트럼프, 우크라전 해결 위해 한국의 개입 만류할 수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집권 2기 외교안보 진용 인선을 완료한 가운데 차기 미 행정부 한반도 관련 정책의 윤곽이 드러날지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