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심각해진 산불, 숲 가꾸기로 막을 수 있다? 없다? SBS뉴스
왜 중요한데? 미국 대륙이나 유럽의 산림 지대를 찍은 영상물들 보신 적 있죠. 자작나무 같은 특정 수종이 광대한 면적을 채우고 있는 모습 같은 거 말입니다. 반면 한반도 숲의 '원래' 특성은 여러 수종이 다양하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겁니다. 제가 '원래'라는 말을 붙인 건, 6.25 이후 황폐해진 숲을 인공 조림하는 과정에서 소나무, 잣나무 같은 침엽수종을 특정해서 많이 심으면서 예전 같은 다양성이 많이 훼손됐다는 점 때문입니다.
이런 다양성 차이는 시간을 거슬러 2만 년 전 마지막 빙하기로 올라갑니다. 한반도는 미주, 구주와 달리 이 빙하기를 겪지 않았습니다. 덕분에 그 어느 지역보다도 높은 식물 다양성이 보존돼 왔습니다. 작은 뒷산 한 곳에만 가더라도 수십 종의 나무가 자라고 있는 건 이런 덕택입니다. 이 같은 다양한 식물상을 바탕으로 숲 속 미생물, 곤충, 동물에 이르기까지 터를 잡고 생태계를 유지해 왔고요. 좀 더 설명하면 그간 우리 조림 노하우는 소나무류에만 집중돼온 탓에 소나무 외 활엽수 같은 수종에 대해서는 경험이 충분치 않습니다. 또 활엽수의 경우 뿌리가 곧게 아래로 뻗는 특성 때문에 묘목을 이식하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기후위기 시대 숲 가꾸기에 있어 우리에게 더욱 불리한 이유가 또 있죠. 우리의 경우 산림지대 토심이 얕다는 겁니다. 얕은 토심이 문제 되는 건 산사태에 취약하기 때문입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가운데 대표적인 게 여름철 태풍, 폭우 등이죠.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처럼 산사태 위험도가 높은 곳이 많지 않다고 할 정도입니다. 더구나 산불로 많은 나무들이 사라지면서 얕은 토심을 붙잡아 주던 역할을 하던 기둥들이 뽑혀 나간 거나 마찬가지여서 갈수록 산사태 걱정도 커질 수밖에 없죠. 이렇게 다양한 특성에 맞춰서 조림 원칙을 잡아가야 할 겁니다.
한 걸음 더 기후변화와 산불이 연결돼 있다는 얘기 한 번쯤 들어보셨죠. 그렇습니다. 기온이 과거보다 높아지면서 숲 속의 환경이 고온건조해진 게 산불 다발의 원인이 됐죠. 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란 겁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어디 와인일까요?' 최태원이 엑스포 실사단 앞서 분위기 띄운 방법 | 중앙일보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지원 민간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r최태원 회장 부산 엑스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국에 많은 비…곳곳에 호우·강풍 경보오늘은 전국에 반가운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산불 피해를 불러온 건조함은 가시겠지만 남해안과 지리산 부근, 제주도 산지를 중심으로 많은 비와 함께 강한 바람이 불어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봄비에 마음을 적셔볼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겨울 사막’ 한국 곳곳서 치솟는 대형 산불…안전지대 없다국내 산불은 최근 들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며, 규모도 대형화하는 추세입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한반도의 산불도 악명 높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처럼 동시다발·대형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준석, 이제는 말할 수 있다?...尹과 관계악화설 설명이준석 '尹 술잔 거절해 관계악화?' / '만취해 집에 간 적은 있다' 관계악화설 설명 / '尹, 장예찬에게는 '예찬아'…저에겐 '대표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르는 사람이 ‘단톡방’ 초대…이제는 안 들어갈 수 있다모르는 사람이 마음대로 만든 ‘단톡방’에 일방적으로 초대당하는 불편을 더이상 겪지 않게 됐습니다. 카카오톡 친구가 아니라면 상대방의 수락을 받아야 단톡방 초대를 할 수 있도록 기능이 업데이트 됐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카카오톡 단톡방, 본인 동의있어야 초대할 수 있다앞으로 친구 목록에 없는 사람으로부터 카카오톡의 그룹 채팅방(단톡방)에 초대를 받고 느꼈던 불편함이 줄어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