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일대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했다는 사실을 보고받고도 대통령실이 관련 내용을 밝히지 않은 것을 두고 논란이 제기됩니다. 대통령실이 불리한 내용은 일선 부처로 떠넘긴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통령실 공식 브리핑
윤석열 대통령이 5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교육부-문화체육관광부 업무보고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일대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했다는 사실을 보고받고도 대통령실이 관련 내용을 밝히지 않은 것을 두고 논란이 제기된다. 대통령실이 드론부대 창설 등 무인기 대응전략 발표엔 직접 나서면서 불리한 내용은 일선 부처로 떠넘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국가안보실과 국방부,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지난달 26일 영공을 넘어온 북한 무인기 1대가 서울 용산구 일대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했다는 사실을 지난 4일 보고받았다. ‘무인기가 비행금지구역에 진입하지 않았다’는 국방부의 주장을 10일 만에 뒤집는 내용이었다.
윤 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이 보고된 날 대통령실은 공식 브리핑을 했지만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고 ‘무인기 대응을 서둘라’는 윤 대통령의 지시사항만 공지됐다. 대통령실은 특히 드론부대 창설과 연내 스텔스무인기 생산 개발 지시 등을 상세히 설명했고 비행금지구역 침범 건은 알리지 않았다. 이를 두고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어제 국방부가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보고했는데 브리핑을 안한 것”이라며 “국민을 왜 속이나”라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그러나 “무인기를 탐지‧추적‧분석한 국방부가 발표하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고 반박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 항적 추적된 게 그저께다. 그 내용을 대통령에게 보고한 것으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국방부 브리핑은 원래 예정돼 있었다”며 “대통령실이 모든 걸 다 하려면 대통령실 직원이 3천명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소한의 남북 ‘완충 장치’…9·19 군사합의, 존폐 기로에 서다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가 수도권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라”고 4일 국가안보실에 지시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軍 '北 무인기, 비행금지구역 일부 침범'...입장 번복軍 '北 무인기 1대, 비행금지구역 일부 침범' / 軍 '비행금지구역 일부 침범…용산 뚫린 건 아냐' / 軍 '합참 전비태세검 과정에서 추가 항적 파악' / 입장 번복한 軍…오늘 전비태세검열 결과 공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동드론사령부 창설…'드론킬러' 개발·스텔스무인기 연내생산(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