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업체서 인력 보냈지만쏘카에서 직접 지휘·감독'
타다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 노동자가 플랫폼에 직접 가입된 노동자인지를 판단할 때도 회사와 노동자 간 종속성을 따지는 기존 법리가 적용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정당한 사유 없이 계약을 해지하는 건 부당해고에 해당한다는 취지다.이 사건은 2019년 타다의 프리랜서 운전기사로 일했던 A씨가 쏘카에서 부당해고를 당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2019년 5월 VCNC에 운전기사를 제공하는 협력업체와 '프리랜서 드라이버' 계약을 체결한 A씨는 이후 타다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호출에 따라 차량을 운전했다. 이 과정에서 타다는 드라이버들의 출퇴근이나 호출 미수락 등 근태 정보를 관리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협력업체는 타다가 운행 차량을 줄임에 따라 인력 감축이 불가피하다며 운전기사 약 70명에게 계약 해지를 통보했다. 이에 A씨 등은 일방적인 인원 감축 통보로 부당해고를 당했다며 구제 신청을 냈다. 중앙노동위원회는 쏘카가 A씨를 부당해고한 점이 인정된다는 결론을 내렸고, 쏘카는 이에 불복해 소송을 제기했다.1심은 운전기사들은 근로자가 아니라며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쏘카가 운전기사들과 관련해 사용자 지위에 있거나 운전기사들이 쏘카와 종속적 관계에서 일했다고 볼 수 없다는 취지다. 그러나 2심은 이를 뒤집고 운전기사들의 손을 들어줬다. 2심은"A씨의 업무 내용은 타다 서비스 운영자가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만든 틀 안에서 정해졌고, A씨가 이를 벗어나 스스로 업무 내용을 정할 수 있는 부분은 없었다"며"근무 수락 여부와 근무 시간 등에서 A씨에게 자유로운 선택권이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대법원은"쏘카가 협력업체에서 운전기사들을 공급받기는 했지만 이들의 임금과 업무 내용 등은 직접 결정하는 등 상당한 지휘·감독을 했다"면서"쏘카 자회사 VCNC는 운전기사들의 근무 시간과 장소를 정하는 등 앱을 통해 이들의 업무 내용을 최종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타다 운전기사는 ‘노동자’…대법 “계약해지 부당해고”실시간 승합렌터카 호출서비스 ‘타다’ 소속 기사들을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봐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대법원은 이런 판단과 함께 타다가 지난 2020년 이른바 ‘타다금지법’으로 타다 서비스가 종료되며 기사들을 대량해고한 것은 부당해고라고 판결했다. 이번 대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대법원 “타다 운전기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확정대법원이 콜택시 서비스 ‘타다’ 운전기사가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대법원 3부(주심 이홍구 대법관)는 25일 주식회사 쏘카가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을 상대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더중앙플러스 추억의 뽑기 이벤트 PHASE 27월에도 더중앙플러스에서 유용한 기사도 읽고 매일 행운 넘치는 선물도 받아가세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힘이 협약서 파기'... 울산 남구의회 원구성 진통울산 남구의회 의장단 선출 두고 민주당 "국힘이 일방적 파기" 주장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류엔 사무직이라 적고, 공사장 사다리서 일하다 추락사…보험금 받을 수 있을까 [어쩌다 세상이]대법 “고지의무, 통지의무 구분해야” 보험사 과도한 해지권 행사 제한될 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원 모두가 60대, 우리만 그런거 아니네”…늙어가는 기업, 5060비율 역대 최고50대 이상 근로자 비중 35% “숙련 기술자 은퇴하고 외국인 빠지면 생산현장 멈출 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