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들보가 없다…'한국형 아파트' 특징 없을 무(無) 대들보 량(梁). 무량판 구조는 말 그대로 대들보가 없다는 의미다. 대신 건물의 하중을 받치는 수직재의 기둥에 철근 콘크리트 바닥인 슬래브가 바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에도 무량판 구조가 적용됐다.무량판 ...
없을 무 대들보 량. 무량판 구조는 말 그대로 대들보가 없다는 의미다. 대신 건물의 하중을 받치는 수직재의 기둥에 철근 콘크리트 바닥인 슬래브가 바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에도 무량판 구조가 적용됐다.
YTN 라디오에 출연한 김성수 건축구조기술사에 따르면 보통 아파트의 경우 안전과 관련된 구조 부재 개수가 1,000개 이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아파트 시공 전까지 여러 번의 변경이 이뤄진다. 변경 때마다 1,000개 이상의 구조 부재를 하나하나 검증해야 하는데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면 문제가 발생한다. 실수든 누락이든 아니면 의도적 빼먹기든 사고 유발 가능성이 작지 않다. 구조 변경 때 구조 전문가의 철저한 검토는 없었다. 설계상으로는 기둥과 슬래브 사이에 하중을 전달하는 지판이 있어야 했지만 실제는 지판 두께가 얇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다수 있었다. 무량판 구조의 단점을 보강하지 않으니 어찌 보면 붕괴는 필연적이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순살 아파트' 철근공 '아파트 철근, 20~30년 전의 반만 넣고 있다''순살 아파트' 철근공 '아파트 철근, 20~30년 전의 반만 넣고 있다' GS건설 철근 LH 순살아파트 국토부 김성욱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철근 빠진 아파트 '설계·감리·시공·감독' 총체적 부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무량판 구조를 적용한 아파트 단지 지하주차장에서 철근 누락이 무더기로 확인되면서 같은 구조를 적용한 단지를 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LH 발주 ‘무량판 아파트’ 15개 단지서 미흡 발견…긴급 보완인천 검단의 신축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 원인으로 지적된 ‘철근 누락’이 다른 아파트 단지에서도 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또 '순살 아파트'‥LH 15개 단지 '철근 누락'지난 4월 인천 검단의 신축아파트에서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가 발생했는데요. '철근 누락'이 원인으로 꼽혔죠. LH가 발주한 아파트를 전수조사했더니, 15개 아파트 단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둥에 철근 없는 아파트 더 있다”…확산하는 우려LH 발주 91곳 중 15곳 명단 공개…검단 붕괴 사고와 같은 설계, 민간 아파트도 100개 더 있어, 대통령 전수 조사 지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