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인 이상 대기업 근로자 10명 중 2명꼴인 18.1%가 파견·용역 등 ‘소속 외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3년 고용형태 공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3887개 기업에서 고용한 소속 외 근로자는 101만1000명으로, 지난해보다 약 5만명 늘어났다. 소속 외 근로자는 용역·도급·파견 등 사업주가 직접 고용한 근로자는 아니지만, 다른 기업에 고용돼 해당 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300인 이상 대기업 근로자 10명 중 2명꼴인 18.1%가 파견·용역 등 ‘소속 외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조선업에선 비중이 60%를 상회했다.
업종별로 조선업에서 소속 외 근로자가 61.9%로 가장 많았다. 이는 전체 평균의 3.4배 수준이다. 현재 조선소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의 10명 중 6명은 원청 소속이 아닌 것이다. 특히 한 대형 조선업체의 경우 소속 외 근로자 비중이 75.2%에 달했다. 원청 소속 근로자와 유사한 일을 하면서도 임금 수준에선 큰 차이가 발생하면서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가 심화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교사 3명 중 2명 언어폭력 경험...16%는 극단선택 생각도[앵커]전국 교사 3명 중 2명은 학교 안에서 언어폭력을 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사 3명 중 2명 언어폭력 경험...16%는 극단선택 생각도[앵커]전국 교사 3명 중 2명은 학교 안에서 언어폭력을 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교사 3명 중 2명 언어폭력 경험...16%는 극단선택 생각도[앵커]전국 교사 3명 중 2명은 학교 안에서 언어폭력을 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체류 외국인 10명 중 8명 '만족한다'...2명은 인종차별 경험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 중 80%가 한국 생활 전반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있는 사람도 내보낼 판인데”…대기업도 고용 증가세 주춤올해 상반기 대기업의 상용 근로자 증가율이 전년 대비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중앙일보가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의뢰해 최근 3년 동안 대기업 고용 동향을 분석했더니 올 상반기 대기업 상용 근로자 수는 312만55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만6133명(2.1%) 늘어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상반기 증가분에 비해 37.6%가 줄어들었다.〈그래픽 참조〉 그동안 대기업 상용 근로자 수는 매해 10만 명 이상 늘어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8월 세상 떠난 노동자 73명... 비슷한 죽음이 반복되다[이달의 기업살인] 떨어짐 24명, 깔림 10명, 물체에 맞음 7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