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불타오를 영등포 명화의 밤 [유레카]

대한민국 뉴스 뉴스

다시 불타오를 영등포 명화의 밤 [유레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3%
  • Publisher: 53%

1982년 8월1일 서울 영등포로터리 인근에 영화관 하나가 문을 열었다. 1057석 규모의 개봉관 ‘명화극장’이다. 당시 보도된 매...

1982년 8월1일 서울 영등포로터리 인근에 영화관 하나가 문을 열었다. 1057석 규모의 개봉관 ‘명화극장’이다. 당시 보도된 매일경제 기사를 보면, 70㎜ 필름을 상영할 수 있는 대형 스크린과 46개의 스피커, 입체음향 돌비 서라운드 시스템을 갖췄다고 한다. 지하 2층, 지상 5층 건물에 극장식당, 실내수영장, 헬스클럽, 사우나, 커피숍 등도 들어서 복합여가시설로 기능했다.

명화극장은 서울 서대문 ‘화양극장’, 미아리 ‘대지극장’과 함께 1980~90년대 홍콩 누아르 영화의 성지로 꼽혔다. 1988년 ‘영웅본색2’ 개봉 당시 주연배우 주윤발과 적룡이 이곳을 찾아 사인회를 열기도 했다. 하지만 1990년대 후반 생긴 멀티플렉스 영화관으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단관극장들은 쇠퇴했고, 명화극장도 개관 20년 만에 문을 닫고 말았다. 이 건물이 다시 활기를 띤 건 2002년 ‘명화나이트’로 재탄생하면서다. 서울 서남권에서 가장 유명한 성인나이트로 뜨면서 밤마다 불야성을 이뤘다. 인근 직장인들은 물론, 경기·인천 사람들도 찾아올 정도였다. 부킹의 성지, 어른들의 놀이터로 불린 이곳을 담은 르포 기사도 있다. 한겨레 토요판이 2015년 12월 ‘영등포 명화나이트의 밤…몇 번의 부킹 뒤 몸이’라는 제목으로 보도했다. 하지만 이번엔 코로나 팬데믹이 문제였다. 고비를 넘지 못하고 2020년 폐업했다.

한동안 폐건물로 방치됐던 이곳 소식이 다시 들려온 건 최근의 일이다.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오아시스 출신 노엘 갤러거가 오는 11월25일 ‘명화 라이브홀’에서 추가 내한공연을 한다고 지난 17일 발표했다. 11월27~28일 서울 잠실실내체육관 공연은 일찌감치 매진된 터라 팬들에겐 복음과도 같은 소식이었다. 낯선 공연 장소에 대한 궁금증이 커졌다. 알고 보니 명화극장·명화나이트의 그 건물이 2000석 규모의 공연장으로 새로 태어난 것이었다. 국내에선 아레나급 대형 공연장만이 아니라 2000석 규모 중간급 공연장도 귀하다.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 용산구 블루스퀘어 마스터카드홀에 대중음악 공연이 몰리는 까닭이다. 그래서 서울 서남권에 새로운 거점이 생긴 걸 두고 많은 이들이 반기고 있다. 지난 40년간 사람들을 웃기고 울렸던 공간이 공연장으로 새롭게 명맥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끈질긴 언론,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후원제 소개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가영의 최다승이냐, 김상아의 첫승이냐?…LPBA 오늘밤 결승김가영의 최다승이냐, 김상아의 첫승이냐?…LPBA 오늘밤 결승LPBA 휴온스챔피언십 23일 밤 결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레카] 전쟁법과 민간인 보호[유레카] 전쟁법과 민간인 보호전쟁은 오래전부터 국가 간 또는 정치세력 간 이해충돌과 갈등을 폭력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으로 쓰여왔다. 그러나 19세기 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스라엘 “공격 더 세게”…하마스 인질 석방 제안도 거부했다이스라엘 “공격 더 세게”…하마스 인질 석방 제안도 거부했다가자지구 1차 구호품 도착했지만 국경 다시 봉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창용 “규제 다시 조여도 가계부채 안잡히면 금리인상 고려”이창용 “규제 다시 조여도 가계부채 안잡히면 금리인상 고려”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규제 정책을 다시 타이트하게 했는데도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에 남아, 여전히 살아가야 하는 이들의 이야기이태원에 남아, 여전히 살아가야 하는 이들의 이야기[다시 놀고 싶다 ⑤] 심나연·홍다예씨가 들은 선샤인씨의 이야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산은, 올해 해외 재생에너지 투자액 0원…“세계 추세 역행”[단독] 산은, 올해 해외 재생에너지 투자액 0원…“세계 추세 역행”해외 화석연료 투자는 작년부터 다시 증가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4:2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