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환자에게 흔히 발견되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을 경우 뇌로 전이된 종양을 치료하기 어려웠으나 3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가 개선된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임상연구가 발표...
폐암 환자에게 흔히 발견되는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을 경우 뇌로 전이된 종양을 치료하기 어려웠으나 3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가 개선된 치료효과를 보인다는 임상연구가 발표됐다.
연세암병원 김혜련·홍민희 교수는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강진형 교수, 고려대 안암병원 최윤지 교수, 가천대 길병원 안희경 교수와 공동으로 수행한 이 같은 내용의 연구를 미국의학협회 종양학 학술지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진이 기존 약제로 치료에 실패한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뇌 종양 크기가 감소한 환자의 비율을 뜻하는 뇌내 객관적 반응률은 55.3%로 나왔다. 폐암 가운데 80~85%를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에선 표피성장인자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쉽게 발견된다. 이 변이는 암세포가 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활성화시켜 성장을 촉진하는데, 여기에 티로신키나제라는 효소가 신호전달을 활발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물질로 작용한다.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한 티로신키나제 억제제가 개발됐으나 앞서 나온 1·2세대 약제는 뇌를 보호하기 위해 약물 전달을 막는 뇌혈관장벽을 넘어 뇌 안까지 침투하기 어려웠다. 폐암은 진행이 빠른 공격적인 암이어서 4기 진단 당시 25%의 환자가 뇌까지 암이 전이된 양상을 보이지만 이를 치료하는 데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연구진은 뇌로 전이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3세대 티로신키나제 억제제인 ‘레이저티닙’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종양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던 환자 38명 중 21명에게서 뇌 종양 크기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검사에서 뇌 내부의 암이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온 환자도 3명 있었다. 특히 1·2세대 약제에 대한 내성 때문에 나타나는 ‘T790M’ 변이가 생긴 환자 중에서는 객관적 반응률이 80%에 달해 더욱 효과가 컸다. 병의 진행 없이 생존하는 기간인 무진행 생존기간은 15.8개월을 기록했으며, T790M 변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환자가 보인 부작용이 경미한 수준에 머물러 안전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혜련 교수는 “이번 연구는 치료에 실패한 EGFR 양성 뇌 전이 환자에게 저항 돌연변이 T790M 발생 여부에 상관없이 3세대 억제제인 레이저티닙을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초등생 수 절반 감소 예상', 이 나라에 필요한 것의 저출생 관련 기사(2024. 3. 28)를 보면 '자녀의 출산에 관련된 결정은 돈 문제를 넘어서며, 출산과 육아에 관련된 문화는 정책보다 훨씬 더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양육비용이 심각하게 고려되기 몇 단계 전부터 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내용이 눈에 띕니다. 우리나라는 2024년에 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 10명 중 6명 “공정과세 이뤄지지 않고 있다”절반 이상 “감세로 인해 복지·민생 축소” 우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 여친이 5천명과 바람피워도 괜찮아…질투·감시 없는 ‘이 나라’ 연애방식 [박민기의 월드버스]시간·돈 투자하는 현실 연애보다 AI와의 ‘간편 데이트’ 수요 급증 日 20대 남성 절반 이상 여친 없어 일상·업무 넘어 연에서도 ‘효율’ 찾아 ‘러버스 앱’ AI봇과 결혼하는 사례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국 일본뇌염 경보…경남·전남 전체 모기 중 절반 이상 매개모기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국내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기준치 이상으로 발견돼 당국이 전국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오늘(26일) 질병관리청은 경남과 전남에서 일본뇌염 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근 5년간 리튬 배터리 화재 612건···절반 이상 과충전 상태에서 발생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보급이 확대되면서 사고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한 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온열질환자 56명 늘어 누적 2천652명…신규 환자 사흘째 감소(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올여름 무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자가 2천652명으로 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