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치료가 가능해질까요?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 질환 치료가 가능해질까. 한국뇌연구원 코소도 요이치 책임연구원 연구진은 4일,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대뇌피질 신경세포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물고기에서 추출한 콜라겐으로 대뇌피질 신경세포가 더 잘 생산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 것이 핵심이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퇴행성 뇌질환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질환 중 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뇌 신경계의 정보전달에 가장 중요한 뇌 신경 세포가 사멸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과학계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신경세포를 대량으로 만들고, 이를 이용해 향후 손상된 뇌 부위를 복원하면 뇌 질환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진은 먼저 틸라피아라는 물고기에서 콜라겐을 추출해 젤을 만들고, 이후 iPS를 배양해 신경세포로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콜라겐 젤의 강도를 인간의 뇌와 비슷한 수준인 1500Pa로 제작할 경우 기존보다 대뇌피질 신경세포가 60% 이상 더 생산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보다 낮은 150Pa 강도로 제작한 콜라겐에서는 대뇌피질 신경세포 유전자군과 흥분성 신경세포 유전자군의 발현량이 현저하게 낮았다.연구를 진행한 코소도 박사는 “뇌의 강도가 신경세포 분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특정 신경세포를 대량으로 만들어 신경 재생 치료에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실험 결과 인간의 뇌와 비슷한 1500Pa 강도에서 TBR1와 VGLUT1ㆍ2가 현저히 더 잘 분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진은 TBR1의 분화가 기존 배양법의 60%이상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멸종 ‘독도 바다사자’ 강치 뼈에서 유전자 정보가 발견됐다독도 바다사자(강치)는 일제강점기 때 대량 포획으로 멸종된 종이다. 멸종 ‘독도 바다사자’ 강치 뼈에서 유전자 정보 발견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매 시아버지의 마음 울린 남편이 손수 만든 주먹밥“당신 아버지야. 효도는 자식이 해야지.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살아계실 때 해. 당신이 집에 없는 평일에는 내가 도울게. 내가 하는 것은 효도가 아니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흙수저vs금수저'...총리 출신 황교안·이회창의 다른 길황교안과 이회창, 둘은 비슷한 경력을 바탕으로 선거 경험이 없는 ‘정치신인’인데도 당을 접수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사 살해하러 가던 길' 흉기 든 10대의 충격적 진술지하철에서 노인을 흉기로 위협하다 붙잡힌 김군, 그는 경찰 조사에서 뜻밖의 진술을 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北 최선희 '김정은 생각 달라지는 느낌'...'새로운 길'도 언급대한민국 24시간 뉴스 방송채널, 실시간 속보 및 제보하기, 분야별 뉴스, 방송 프로그램 다시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