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선진국의 노조 조직률은 한국보다 대체로 높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019년 자료를 보면, 일본은 16.8%, 영국은 23.5%, 캐나다 26.1%, 이탈리아 32.5% 등입니다. 🔽 자세히 읽기
게티이미지뱅크 2021년 노동조합 조직률은 14.2%로, 2020년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이래 지속된 상승세가 꺾였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1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을 보면, 지난해 노조 조직률은 2020년과 같은 14.2%였다. 전체 조합원은 293만3000여명으로 1년 만에 12만8000명 늘었는데, 같은 기간 전체 조직 대상 노동자도 79만5000명 증가한 결과다. 노조 조직률은 전체 조합원을 조직 대상 노동자로 나눈 값이다. 노조 조직률은 2014년 10.3%에서 2015년 10.2%로 0.1%포인트 빠졌고, 2016년부터 계속 오르다 6년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조합원이 가맹한 상급단체를 보면, 한국노총이 123만8000명으로 제1노총 지위를 유지했다. 민주노총 조합원은 121만3000명이었다. 조직 형태별로는 산별노조 등 초기업 단위 노조에 가입한 조합원이 열에 여섯이었고 기업별 노조 소속은 39.6%였다.
노조 조직률은 민간보단 공공부문이, 소형 사업장보단 대형 사업장이 높다. 부문별 노조 조직률은 민간 부문이 조직 대상 노동자의 11.2%만 노조에 가입한 반면, 공공부문은 70%, 공무원 부문은 75.3%가 노조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명 이상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이 46.3%에 이르고 100∼299명 사업장 10.4%, 30∼99명 1.6%였다. 30명 미만 사업장의 노조 조직률은 0.2%에 그쳤다. 이는 이른바 정부의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대책이 소규모, 민간 부문 노동자들이 집단적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구조 마련에 집중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선진국의 노조 조직률은 한국보다 대체로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 2019년 자료를 보면, 일본은 16.8%, 영국은 23.5%, 캐나다 26.1%, 이탈리아 32.5%, 덴마크 67.0% 등이다. 미국은 9.9%로 한국보다 낮다.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파업 주도했다고'…계약 해지 화물기사의 절규, 원청은 SPC'문자가 왔습니다. '1~2년 사이 사건들을 감안하면 재계약 않는 게 좋을 것 같다'고…. 그래서 전화했더니 '총파업 참여 때문'이라고 대놓고 얘기하더군요. 진짜 너무한 거 아닙니까?' 화물연대 SPC GFS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연준이 참고하는 美 11월 PCE 물가 5.5%↑…1년여만에 최소폭 | 연합뉴스(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주로 참고하는 물가 지표도 지난달 뚜렷한 상승세 둔화를 보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노동개혁 주문 국민에게 큰 행운” 매일경제의 낯뜨거운 찬양윤석열 대통령이 12월21일 기획재정부 업무보고 및 비상경제민생대책회의 겸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2023년을 노동‧교육‧연금 등 3대 개혁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그중 노동개혁이 최우선이라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노조 부패도 공직 부패‧기업 부패와 함께 우리 사회에서 척결해야 할 3대 부패 중 하나”라며 엄격한 법 집행을 주문했습니다. 언론사별 엇갈린 평가…노조 때리기 VS 회계투명성 강화1.jpg△ 윤석열 대통령 ‘노조 부패’ 발언, 언론사별 엇갈린 평가(12/22~12/23) 윤 대통령이 ‘노조 부패’를 주장하며 노동개혁을 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노동개혁 주문 국민에게 큰 행운” 매일경제의 낯뜨거운 찬양윤석열 대통령이 12월21일 기획재정부 업무보고 및 비상경제민생대책회의 겸 국민경제자문회의에서 2023년을 노동‧교육‧연금 등 3대 개혁의 원년으로 삼겠다며, 그중 노동개혁이 최우선이라고 밝혔습니다. 윤 대통령은 “노조 부패도 공직 부패‧기업 부패와 함께 우리 사회에서 척결해야 할 3대 부패 중 하나”라며 엄격한 법 집행을 주문했습니다. 언론사별 엇갈린 평가…노조 때리기 VS 회계투명성 강화1.jpg△ 윤석열 대통령 ‘노조 부패’ 발언, 언론사별 엇갈린 평가(12/22~12/23) 윤 대통령이 ‘노조 부패’를 주장하며 노동개혁을 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