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카프카,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등 해외의 정치·사회·예술 에세이를 소개해온 문학과지성사 ‘채석장’ 시리즈가 국내 필자들의 에세이를 담은 ‘채석장 그라운드’ 시리즈를 선보인다.
프란츠 카프카,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등 해외의 정치·사회·예술 에세이를 소개해온 문학과지성사 ‘채석장’ 시리즈가 국내 필자들의 에세이를 담은 ‘채석장 그라운드’ 시리즈를 선보인다.
문학과지성사는 ‘채석장 그라운드’ 1차분으로 이탈리아와 유럽현대사를 연구해온 서울대 서양사학과 장문석 교수의 , ‘페미니스트 노동 연구자’ 이소진의 , 문학평론가 이광호의 을 우선 선보였다. 는 100년 동안 자본과 노동 사이에 격렬한 투쟁이 벌어진 도시, 반파시스트 지식인들이 자유를 위해 위대한 싸움을 벌였던 이탈리아 도시 토리노에 대해 다룬다. 20세기 토리노는 자동차 기업 피아트가 포드를 따라 새로운 생산 조직을 시험하고 있었고, 혁명가와 노동자들은 러시아 볼셰비키를 따라 혁명적 선동을 시도하고 있었다. 장문석은 “20세기 초반 토리노는 도시 전체 하나가 거대한 사회정치적 실험실과도 같았다”고 말한다. 격렬한 계급투쟁과 노사갈등의 무대였다. 저자는 토리노의 들끓는 모습을 서사적 필치로 그려내며 이탈리아 변방에 자리잡은 도시의 과거를 지금 되새기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질문을 던지고 한국의 정치사회적 현실을 반추한다.
저임금과 시간 빈곤의 이중 부담을 지고 있는 중년여성의 노동 현실을 조명한 전작 로 주목받은 노동 연구자 이소진의 는 과거 미성숙했던 자신의 모습부터 숨김없이 드러내며 성찰하는 고백적 글쓰기를 보여준다. 계급·여성·자본·시간·소비·생산 등 주제를 교차시키며 사유를 펼쳐보인다. 애초는 배제되었던 존재들까지 포함되도록 보편의 외연을 확장해야 한다며 “그 누구도 배제되지 않는 것, 그것이 바로 진정한 보편이라 생각한다”고 말한다. 문학평론가 이광호는 에서 연인들의 시간이 장소를 어떻게 바꾸는지 탐색해나간다. 장소와 연인들의 공동체에 대한 개념적 연구와 여러 소설 텍스트 속의 연인들의 장소들, 익명적인 ‘나’와 ‘그’의 시선과 상상력이 교차하는 일종의 픽션 에세이를 선보인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러 휴전 선언에도 우크라선 '포성'...벨라루스에 러 병력 추가우크라 '러, 도네츠크주 주요 도시 두 차례 공격' / 러 국방부 '휴전 준수했지만 우크라 포격 계속' / 벨라루스에 러 병력 추가…루카센코 훈련 시찰 / 미국·독일, 확전 우려 꺼렸던 경량급 탱크 지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구촌이 겪지 못한 일...'인구 세계 1위는 인도'中 지난해부터 인구 감소…'매년 6백만 명 줄어' / 올해 인도 인구 중국 추월…'재앙인가 축복인가?' / 인구 도시 집중 가속화…'삶의 질 오히려 후퇴' / '25세 미만 20% 인도인'…’상임이사국’ 지위 요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빅뎃] 北 우리민족끼리 最多 언급… 박근혜-황교안-이명박 그리고 윤석열※조선일보의 새로운 디지털저널리즘 시리즈 ‘빅뎃’은 정치·사회·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심층 분석해 보도하는 코너입니다. 방대한 데이터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