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정책 예산 줄었다고 폐쇄가 답인가 [포토IN]

대한민국 뉴스 뉴스

노동정책 예산 줄었다고 폐쇄가 답인가 [포토IN]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sisain_editor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서울시 최초로 이동노동자 지원센터를 운영한 강동구가 폐쇄를 결정했다. 예산 부족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다. 📸📝 신선영 기자

“올여름 장마철에는 어디로 가?” “그러게 큰일이네····.” 5월23일 새벽 1시20분, 강동구 이동노동자 지원센터에서 두 번째 콜을 기다리던 19년 차 대리운전 기사 이종호씨에게 사무장이 말을 걸었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곳은 2019년 겨울 이씨가 추위를 피해 자주 가던 길동사거리 S은행 현금자동인출기 부스였다. 그해 9월 강동구가 지자체로는 최초로 대리기사, 배달, 퀵서비스, 학습지 노동자 등 이동노동자를 지원하는 센터를 열었다. 개소 직후 직원들이 매일 거리로 나가 전단을 돌렸다. 입소문이 퍼지자, 서울 동남권뿐만 아니라 인천과 수원, 안산에서도 센터를 찾아왔다. 방문자는 하루 평균 30여 명, 겨울철에는 70명까지 늘었다. 출입 기록에 따르면, 5월22일 오후부터 저녁까지 이곳은 생활지원사 6명의 요가 수업 공간으로, 학습지 교사 7명의 회의실 공간으로 활용됐다.

강동구는 길동사거리 안쪽에 있는 건물 3층에 이동노동자 센터를 개소했는데, 1층은 임대료가 비싸기도 했지만 '뚜벅이' 이동노동자들이 주로 이용할 것임을 감안해 내린 결정이었다. 센터는 한 번만 방문해도 이용자 등록을 하도록 했다. 등록자 중에서 강동구민 수가 적은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하지만 실제 센터 이용자 분포를 보면, 강동구민이 7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강동구가 이동노동자 지원센터를 닫기로 결정한 주 요인은 예산이다. 올해부터 서울시 지원금이 끊겼는데, 이 지원금은 이동노동자 지원센터의 상위 조직인 ‘강동구 노동권익센터’가 받아오던 것이었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강동구 노동권익센터’가 먼저 문을 닫으면서 그 사업 분야 중 하나인 이동노동자 지원센터에 대한 지원금도 사라지게 된 것이다. 강동구가 이처럼 노동 관련 사업을 중단하자 ‘전임 구청장 업적 지우기’ 논란이 일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sisain_editor /  🏆 13.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민주당 시장 정책 무조건 NO’ 안성시의회 국민의힘의 횡포‘민주당 시장 정책 무조건 NO’ 안성시의회 국민의힘의 횡포국민의힘 안성시의원들, 700여개 사업 예산 삭감 이어 모든 사업안건 부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학자금 무이자 대출법', 20대·30대·50대에게 물어봤더니'학자금 무이자 대출법', 20대·30대·50대에게 물어봤더니"생활 힘든 친구에겐 도움"-"실효성 있나 의문" 의견 분분... 전문가 "청년·교육 예산 늘려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냐 유지냐…WHO, 오늘 회의 | 연합뉴스코로나19 비상사태 해제냐 유지냐…WHO, 오늘 회의 | 연합뉴스(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세계보건기구(WHO)가 2020년 1월 처음 발효한 코로나19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를 유지할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11:2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