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TV플러스 바로 보기 | 15세 이상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영국 런던을 매일 공습한다. 영국이 할 수 있는 일은 대공포 반격과
※ 차고 넘치는 OTT 콘텐츠 무엇을 봐야 할까요. 무얼 볼까 고르다가 시간만 허비한다는 '넷플릭스 증후군'이라는 말까지 생긴 시대입니다. 라제기 한국일보 영화전문기자가 당신이 주말에 함께 보낼 수 있는 OTT 콘텐츠를 2편씩 매주 토요일 오전 소개합니다.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영국 런던을 매일 공습한다. 영국이 할 수 있는 일은 대공포 반격과 등화관제 정도다. 민간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나 방공호는 턱없이 부족하다. 정부는 아이들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골로 보내는 정책을 펼친다. 싱글 맘 리타는 어린 아들 조지를 런던 밖으로 내보내려 한다. 하지만 조지는 아무리 위험해도 엄마 옆에 있고 싶다.조지는 시골행 열차에서 뛰어내린다. 런던으로 가는 일은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 반대 철로로 오는 열차를 숨어 타면 된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어린 조지 생각대로 세상이 단순할 리 없다.
겨우겨우 런던에 진입하고도 집은 멀고도 멀다. 어리고 게다가 백인과 흑인의 혼혈인 조지에게 세상은 친절하지 않다. 가끔 다정하고 정의로운 어른들을 만나 집에 한 발짝씩 다가가나 악당들에게 발목이 잡혀 움직이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전쟁 중 런던 거리는 위험이 넘쳐난다. 밤에는 나치 폭격기들이 폭탄을 쏟아내고, 낮에는 범죄자들이 범죄에 악용하기 위해 조지를 호시탐탐 노린다. 폭격을 피해 간 장소도 안전하지 않다. 조지는 영국 작가 찰스 디킨스의 소설 ‘올리버 트위스트’의 주인공보다 더 험난한 상황에 놓였다고 할까. 리타는 아들이 사라지자 애타게 찾으나 마땅한 방도가 없다.
조지가 의도치 않게 겪는 모험은 2차 대전 당시 런던의 풍광을 되살린다. 폭격으로 폐허가 된 주택가, 군수공장에 동원된 리타와 또래 여인들의 모습, 런던 시민 대피소가 된 지하철 역에서 벌어지는 일 등이 화면에 펼쳐진다. 사회주의가 전쟁 시기 인류애를 강조하며 영국 민중을 파고들게 된 과정을 자연스레 보여주기도 한다.전쟁은 무정을 넘어 비정하다. 특히 조지같이 순박하고 힘 없는 아이에게 더욱 잔혹하다. 영화는 80여 년 전 일을 묘사해내나 현재진행형 장면처럼 보인다. 보는 이 누구에게나 우크라이나와 가자지구에 벌어지고 있는 일들이 화면에 포개질 듯하다.
조지는 영웅적인 행동을 한다. 그러나 그는 영웅으로 대우받고 싶어하지 않는다. 동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상의 갈채보다 엄마가 만들어낸 따스한 수프일 테니까. 조지의 아찔한 모험은 근원적인 질문을 불러낸다. 과연 인류는 80년 넘는 시간이 지났어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걸까. 영화는 감정적이지 않다. 메시지를 강조하지 않기도 한다. 감독은 우리가 ‘전쟁의 시대’를 살고 있기에 굳이 그럴 필요가 없다는 걸 아는 걸까.스티브 매퀸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그는 영화 ‘노예 12년’으로 흑인으로는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사상 첫 수상했다. ‘헝거’와 ‘셰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런던 공습’은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비극적 현실을 미학적 화면으로 빚어낸다. 바다에 비친 폭격기와, 하얀 꽃이 흐드러진 들판을 대비시키며 전쟁의 비극성을 극대화하는 식이다. 매퀸 감독은 2020년 기사작위를 받은 후 영국 앤 공주와 나눈 대화에서 영화를 기획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런던 올리버 디킨스 영국 나치 80여년 2차세계대전 리타 조지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베이루트 공습 피해로 인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레바논 베이루트의 공습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무인기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 발생과 함께 건물들이 손상되거나 무너져 내렸다. 이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이 파괴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는 서로의 증언자'5·18 성폭력 16명 피해 아카이브' 16명의 피해 사실을 전부 볼 수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어린 왕자와 여우: 관계의 중요성과 포스트휴먼 시대의 의미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에서 어린 왕자가 여우와 대화하며 관계 맺기의 중요성을 깨닫는 과정을 통해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과 기계, 자연 간의 상호 작용과 의존성을 논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버지와 나 - 서울로의 여정필자는 어린 시절 홍성군 갈산에서 자랐고, 어린 시절의 추억과 아버지의 병으로 인한 이별, 그리고 서울에서의 모토롤라 취업과 노조 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다리 타고 올라간 동료의 죽음, 그녀는 도망치듯 시골로 갔다김미례 감독의 다섯 번째 장편 다큐멘터리 개봉을 앞두고 영화를 보기 전에 혹은 본 후에 읽을 거리, 생각 거리가 될 수 있는 연재 기사를 기획했다. 열 편의 기사에는 영화의 잔향이 깃들어 있기도 하고, 영화에서는 미처 다 하지 못했던 감독과 출연진의 말이 담겨있기도 하다. 원고를 받고 정리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산불 피해 복구 과정에서 드러난 막대한 이권, 소나무재선충 피해 복구 비용의 비효율성산불 피해 복구 과정에서 벌목과 조림, 사방댐 설치 등이 이익을 추구하는 구조를 폭로하며, 소나무재선충 피해 복구 과정에서의 비용 차이와 비효율성을 지적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