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onomy | 공동락의 경제스토리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한 남성이 식당 앞에 걸린 ‘구인 중’이라고 적힌 표지판을 지나가고 있다. 알링턴/AFP 연합뉴스 탄탄한 흐름을 이어오던 미국의 고용 상황이 다소 주춤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그간 높은 물가와 함께 웬만해서는 꺾일 것 같지 않던 고용이 둔화 징후를 보임에 따라 미국의 추가적인 정책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 역시 크게 약화하고 있다. 최근 미국 노동부가 집계·발표한 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7월 채용공고는 882만건으로 전달보다 33만8천건 감소했다. 이번 수치는 지난 2021년 3월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일 뿐만 아니라 월가의 예상치인 950만건을 크게 밑돈다. 기업들의 채용공고가 이처럼 감소한 것은 경기 둔화 우려로 기업들이 인력 채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뜨거웠던 고용의 냉각 신호는 여기서 그친 것이 아니다.
미국 노동부의 구인·이직 보고서는 이처럼 노동시장에서 일자리를 찾는 구직자와 일할 사람을 찾는 구인자 간의 격차를 보여주는 지표다. 이번에 채용공고, 즉 일할 사람을 찾는 구인 숫자가 예상에 크게 못 미쳤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국의 고용시장에서는 구인 건수가 구직자 숫자에 비해 많다. 흥미로운 것은 해당 고용 지표가 발표된 이후 금융시장의 반응이다. 보통 고용 여건이 악화하면 당연히 주식 등 금융시장은 대체로 약세를 나타내기 마련이나, 이번에는 이와 달리 증시가 랠리를 보인 것이다. 매우 역설적인 반응으로 좋지 않은 신호에도 주식시장은 환호하는 소위 “나빠서 오히려 좋은” 장세가 연출된 것이다. 지난해 3월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높은 물가와 탄탄한 고용 여건을 근거로 매우 이례적이고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해 왔다. 그 결과 인상을 시작할 당시 0.25%에 머물렀던 미국 정책금리는 올해 7월 5.50%까지 높아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혼모 혜택이 그렇게 많다는데”…아이 낳고도 혼인신고 안해정부 한부모 지원책 ‘역설’ 각종 보조 받으려 혼인신고 외면 작년 혼인 外 출생 9800명 전체 출생아의 3.9% 차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핵발전소 반대하기 때문에 유치 신청, 슬픈 역설[탈핵_ 잇다] 타인의 고통을 기록하는 사진작가 장영식 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시평] 권력과 진보 - 매일경제기술과 진보의 관계 설정에서가장 중요한 변수는 '권력'기술로 '더 좋은 세상' 되려면건강한 기술견제세력 있어야'기술=진보' 동일시로는AI 잠재위험 극복 어려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안화 약세 땐 원화를 판다…80원 오른 원-달러 환율의 비밀Weconomy | 김승혁의 꼬리무는 경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안한 금융시장, 주식보다 채권에 관심을Weconomy | 최석원의 현명한 투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