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김지해 디자이너가 오트 쿠튀르 의상 11벌을 서울공예박물관에 기증했습니다. 김지해 디자이너는 2001년 동양인 최초로 오트 쿠튀르 초청 멤버로 선정되었으며, 한국 전통 소재와 바느질 기법을 오트 쿠튀르 의상에 접목했습니다.
공예박물관에 ‘ 오트 쿠튀르 ’ 의상 11벌 기증… 김지해 디자이너 지난 11월 11일 서울공예박물관 에서는 ‘기증 감사의 날’ 행사가 열렸다. 올해 총 1만9469점의 공예자료를 기증한 기증자 26명 중 대규모 컬렉션 기증자 9명에게 서울시장 명의 표창장을 수여하고 ‘기증자의 벽’에 명패를 헌정하기 위해서다. 이날 금속·나무·도자공예 등 수많은 기증품 중 단연 눈에 띈 것은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패션 디자이너 김지해씨의 오트 쿠튀르 의상 11벌이었다. 쿠튀르 의상은 문화작품…돈으로 못 따져 가사(스님이 입는 법의의 일종)를 닮은 독특한 옷은 김지해씨가 직접 디자인한 옷이다. 김상선 기자 패션의 도시 파리에선 매년 두 차례씩 큰 패션쇼가 열린다. ‘프레타 포르테’와 ‘ 오트 쿠튀르 ’ 컬렉션 쇼다. 프레타 포르테는 기성복 브랜드들이, 오트 쿠튀르 는 고급 맞춤복 브랜드들이 참여한다.
오트 쿠튀르는 파리의상조합의 명칭이기도 한데 샤넬, 디올, 발렌티노 등 20여 개 정도의 디자이너 브랜드만 참여한다. 프랑스 디자이너들이 자신들의 실력을 뽐내고 자부심을 드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무대라 외국인 디자이너나 브랜드가 함께하기는 쉽지 않다. 정식멤버든 초청멤버이든 의상조합원들의 만장일치가 기본 조건. 김 디자이너는 1999년 자신의 브랜드 ‘지해(JI HAYE)’를 론칭하고 2년 만인 2001년 7월 동양인으로는 두 번째,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오트 쿠튀르 초청멤버로 선정됐다. 당시 김씨의 컬렉션을 본 프랑스의 유력지 르 피가로는 “겐조와 파코 라반의 공백을 메울 디자이너”라는 찬사를 보냈다. 이번에 기증한 11벌의 옷은 바로 이 오트 쿠튀르 무대에 선보였던 의상들이다. 모시, 노방 등의 한국 전통 소재를 사용하고 ‘깨끼’ ‘세땀뜨기’ ‘충무누빔’ 등 우리만의 바느질 기법을 적용해 만든 옷들이다. 기와지붕의 선, 봉황의 날갯짓, 단청의 조화로운 색 조합도 옷에 넣었다. “처음 본 디테일에 유럽 사람들은 천상의 옷이라고 찬사를 보내고, 한국 사람들은 ‘분명 서양식 드레스인데 한복이 연상된다’고 했죠. 저는 그 말이 너무 좋고 감사해요. 제가 의도한 것을 정확히 꿰뚫어 본 찬사니까요.” 사선으로 기와지붕의 ‘선 자연’을 표현했다. 부드러운 노방 천도 깨끼바느질(투명 옷감을 시접이 보이지 않게 최대한 가늘게 박는 기법)을 활용하면 풍성한 볼륨을 만들 수 있다.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어려서는 옷에 관심이 없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가방을 팽개치고 친구들과 산으로 들로 뛰어다니는 걸 더 좋아했다. 그의 운명을 바꿔놓은 건 일본 유학이었다. 재일교포인 아버지는 한국으로 여행 왔다가 어머니를 만나 가족을 꾸렸지만 양가의 반대에 부딪혀 일본 가족들과 왕래를 끊고 지냈다. 고교 졸업 후 아버지의 유언을 들고 일본의 친척들을 찾아갔지만 문전박대 당했다. “아버지의 삶을 대변하기엔 제 일본어 실력이 너무 형편없어서 답답했죠. 한국에 돌아온 후 비용을 벌어서 일본으로 유학을 갔죠. 어느 날 거리에서 다 찢어진 바지를 옷핀 수십 개로 이어놓은 독특한 차림의 청년을 보고 ‘아, 옷을 만들고 싶다’ 결심했어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본 디자이너 요지 야마모토, 이세이 미야케 등이 다녔던 문화복장학교에 들어갔고 2년 만에 조기졸업했다. 늘 “지해 옷은 살아 있다”고 칭찬해준 부원장이 “프로가 되라”며 회사까지 소개해줬다. 대형마트에서 유통되는 옷을 만들던 회사는 프랑스에 지사가 있었고, 덕분에 파리에 머물게 된 김 디자이너는 더 큰 물을 만나기 위해 퇴사 후 프리랜서로 일했다. 포트폴리오를 본 프랑스의 유명 디자이너 꼼 데 가르송도 함께 일하자고 먼저 제안했지만 동양의 이름 없는 작은 나라에서 온 여자에게 정식으로 입사를 제안하는 곳은 없었다. 사선으로 기와지붕의 ‘선 자연’을 표현했다. 부드러운 노방 천도 깨끼바느질(투명 옷감을 시접이 보이지 않게 최대한 가늘게 박는 기법)을 활용하면 풍성한 볼륨을 만들 수 있다. 마음이 무너진 그는 1998년 무작정 히말라야로 날아갔
김지해 디자이너 오트 쿠튀르 서울공예박물관 한국 전통 소재 바느질 기법 패션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갑작스런 상황서 스스로 판단할 힘 주는게 문학'한강, 스웨덴 한림원 공식회견'채식주의자' 유해도서 낙인작가로서 가슴이 아픈 일'제2의 한강' 배출하려면문학 읽는 근육을 길러야노벨상 기증 물품은 '찻잔'책상으로 돌아가게 하는 주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전자·LG전자, 시각·발달 장애인을 위한 가전 접근성 강화삼성전자는 AI 기반 시각보조 앱 '설리번 플러스'에 삼성 가전제품 QR 코드 찾기 기능을 추가하고, LG전자는 '쉬운 가전 프로젝트'를 통해 장애인에게 가전 사용법 교육 및 보조 액세서리 기증 등을 실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상 시상] 한강 '집필의 루틴' 담긴 '찻잔' 노벨박물관에 기증(종합)(스톡홀름=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황재하 기자=소설가 한강이 6일(현지시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서 고심 끝에 내놓은 물건은 집필할 때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벨상 시상] '집필할 때 나의 루틴은'…한강, 노벨박물관에 '찻잔' 기증(스톡홀름=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황재하 기자=소설가 한강이 6일(현지시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서 고심 끝에 내놓은 건 집필할 때의 '일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촉망받던 의대생의 정자 기증, 미처 생각지 못한 후폭풍(*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은 살기 바빠 잊고 지낸 가족의 존재를 상기하며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보기 좋은 영화다. 양우석 감독은 빠르게 변한 가족관을 담고 싶었다며 대가족의 뜻은 '대'가 大가 아닌 '대하여'의 對(대할대)라고 밝혔다. 영문제목도 'About Family'다. 양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타이어 의지해 사흘간 홀로 표류···‘죽음의 바다’서 구조된 소녀시에라리온 출신의 11세 소녀가 지중해에서 이주민들을 가득 태운 보트가 침몰한 뒤 차가운 바다에서 3일간 홀로 버티다 구조됐다. 11일 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