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의원들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려고 한남동 대통령공관에 진입하여 입장을 밝혔다.
친윤 입장문 발표한 김기현, '헌재, 탄핵소추 각하해야' '탄핵소추 사유에 명백하고도 중요한 변경이 발생했으므로 헌법재판소는 탄핵소추를 각하해야 한다.' 6일 오전 대통령 윤석열 체포영장 집행을 막겠다며 서울 한남동 대통령 공관에 진입했다 한 시간여 만에 공관 정문 구역으로 다시 돌아온 30여 명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으로 밝힌 입장이다. 오전 8시 40분께 의원들을 대표해 마이크를 잡은 김기현 의원은' 공수처 는 내란죄에 대한 수사 권한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체포영장 청구라는 초법적 행위를 시도하며 사법체계 근간을 흔들어대고 있다. 이것은 형사소송법 110조와 111조에 명시된 법 규정 원칙을 무시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민주당이 정말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 사유가 있다면 다시 국회 재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헌법의 기초 원칙'이라며'민주당과 공수처 는 지금이라도 위헌적이고 위법한 행태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윤석열 대통령에게도 헌법과 법률에 정해진 정당한 변론권이 반드시 충분하게 보장돼야 마땅하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민주당 등 야당이 국회에서 탄핵안을 가결시킨 것에 대해'지금 민주당은 권력욕에 눈이 멀어 이재명 대표 개인의 방탄을 위해 닥치고 탄핵과 무작정 예산 삭감과 같은 국정 마비 행위를 계속해 왔고 국가 전체를 혼란에 빠뜨리는 주모자가 돼 있다'며'이는 명백한 불법이며 반드시 국민적 심판받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고 민주당을 겨냥했다. 특히 김 의원은'국민의힘은 민주당과 공수처의 무리한 정치 시도를 강력히 규탄하며 법치수호와 헌정질서 수호를 위해 끝까지 싸우겠다'고 했다. 그러나 국민의힘 지도부는 '개인행동'이라며 거리를 두는 분위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도부 관계자는'영남권 의원들 중심으로 관저 앞에 모인 것으로 안다. 지역의 요구에 따른 개인 차원의 행동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현장에는 임이자 이만희 강선영 임종득 송언석 김정재 박준태 정점식 박대출 강명구 최수진 권영진 김석기 김장겸 김기현 유상범 이인선 윤상현 강승규 조배숙 이종욱 정동만 김선교 등 30여명 이상의 현역 의원들이 함께했다. 이들 중 일부 의원들은 관저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한남동에서 밤샌 시민들'내란수괴 윤석열 체포하라' 윤석열 체포 영장이 집행 가능 마지막 날인 6일 시민들은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을 체포하기를 기다리면서 은박 담요를 두른 채로 아침을 맞았다. 비상행동 측에서는 특별히 무대 행사를 진행하지는 않았지만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에는 밤새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외치는 시민들 100여 명이 남았다. 시민들은 자진해서'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체포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고 각자가 가져온 깃발을 흔들면서 떠오르는 해를 맞이했다. 한 시민은'우리 모두가 다 비상행동'이라고도 했다. 새벽부터 마이크 없이 구호를 선창했던 서울 성동구민 강가은(21)씨는 5일 오후 2시부터 이 자리를 지켰다. 강씨는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 입시를 준비 중인 청년으로'눈이 와서 가장 고된 5일 새벽에 같이 있어주지 못한 것이 미안해서 오늘이라도 밤샘 자리를 지켰다'라고 전했다. 이어 강씨는'체포 영장의 효력이 오늘까지인 걸로 알고 있는데 부디 오늘 여기서 (윤 대통령이) 연행되는 모습을 지켜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난방버스와 후원 밥차도 밤을 샌 시민들을 위해 머물렀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 꼰벤뚜알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일신홀 또한 시민들에게 마지막날까지 공간을 개방하고 있다. 이날 오전에도 관저를 사이에 두고 남쪽과 북쪽에선 전혀 다른 광경이 펼쳐졌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 측은 6일 이른 오전부터 수백여 명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을 앞에 두고 탄핵 반대 집회를 이어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헌재, 한 총리 탄핵소추 효력 유지 입장 밝힘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로 인한 직무정지 효력은 헌재의 별도 결정이 있기 전까지 유지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의결정족수 논란 속에 이미 이뤄진 의결 행위 자체의 효력은 일단 인정되며, 구체적인 판단은 재판부에서 내리게 된다는 원칙적 입장을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 “尹, 즉각 구속하고 군통수권 박탈해야”…“한동훈 국정운영 주도 권한 없어”내란사태 종결 위한 민주당 입장 발표 “한동훈, 국정 운영권 위헌적…내란수괴와 면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尹 “결코 포기하지 않겠다…마지막까지 국가 위해 최선” 탄핵직후 4분짜리 담화윤 대통령, 탄핵 가결후 입장 발표 “공직사회, 맡은 바 소임 다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조경태, '위헌 비상계엄'에 탄핵소추 수정 항의 방문 싸움 진입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찬성 표결 후 '위헌적인 비상계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국민의힘 원내 지도부와 중진 의원들의 탄핵소추 수정 항의 방문에 참여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재, 8인 체제 첫 회의: 윤석열 탄핵소추 사유 논의헌법재판소가 6일 오전 8인 체제를 구성한 뒤 처음으로 재판관 회의를 개최한다. 탄핵심판 관련 사건 상황 공유 및 배당 조정 논의가 예정되어 있으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 혐의 제외 논의도 이루어질 전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헌재 “한덕수 탄핵소추 효력 있다…의결정족수는 재판 사항”헌법재판소가 지난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안의 효력에 대해 '헌법에 따라 의결 즉시 직무가 정지되고, 별도의 결정이 없는 이상 탄핵소추의 효력이 있다'고 밝혔다. 헌법재판소는 30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헌법 65조 3항 ‘탄핵소추의 의결을 받은 자는 권한 행사가 정지된다’는 규정에 따라 국회의장이 가결을 선포해 의결된 것으로 직무가 정지되고, 별도의 결정이 있지 않는 이상 의결의 효력이 부인되기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라고 설명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