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직장인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성과급 시즌이 다가왔지만, 업황과 실적에 따라 희비가 교차하는 분위기다.
한지은 기자=직장인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성과급 시즌이 다가왔지만, 업황과 실적에 따라 희비가 교차하는 분위기다.SK하이닉스, 지난해 매출·영업익 사상 최대인공지능 시장이 급성장하며 AI 메모리 반도체 수요 강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시장 우위를 점한 HBM 기술력과 수익성 중심의 경영으로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SK하이닉스는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이익이 23조4천673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3일 공시했다. 영업이익률은 35%다.26일 업계에 따르면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SK하이닉스는 역대 최대 수준인 기본급의 1천50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다. 연봉이 1억원이라면 7천500만원을 성과급으로 받게 되는 셈이다.다만 SK하이닉스 구성원 내부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급에도 기대에 못 미치는 액수라며 불만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삼성전자는 전방 IT 수요 부진으로 주력인 범용 메모리 수요 부진을 겪으며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실적을 냈다. 삼성전자가 AI폰 '갤럭시 S25 시리즈'를 만날 수 있는 '갤럭시 스튜디오'를 오픈한다고 24일 밝혔다. 사진은 스쿨 키트를 활용해 '갤럭시 S25 시리즈'의 AI 기능 학습 체험이 가능한 '갤럭시 스튜디오' 모습. 2025.1.24 photo@yna.
회사는 업황이 좋았던 2023년 성과에 따라 최대 900%를 지급해 LG그룹 계열사 중 가장 많은 성과급을 지급했으나, 2024년 전체 평균 362%, 올해 50%로 2년 연속 규모가 줄었다.삼성SDI는 2023년 영업이익 1조6천330억원을 기록하면서 2024년 초 배터리사업부, 전자재료, 본사는 각각 32%, 18%, 28%의 OPI를 받은 바 있다.일단 GS칼텍스는 전 직원에게 연봉의 12.5%를 성과급으로 지급했다. GS칼텍스의 성과급은 2023년 연봉의 50%에서 2024년 40%로 감소한 뒤 올해도 줄었다.업계 관계자는"4분기 실적이 확정되지 않아 설 연휴 이후 성과급이 공지될 것으로 보인다"며"지난해 업황이 좋지 않았던 만큼 성과급 규모를 놓고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성과급 '희비' 돌아왔다, 엇갈린 실적 따라 성과급 규모 차이기업 성과에 따른 성과급 지급 시기가 돌아왔다. 어려웠던 지난해에 반도체·자동차 등 성과를 낸 업종과 실적 부진으로 '보릿고개'를 겪은 회사 간 성과급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브로드컴, 엔비디아와 AI 반도체 시장 격돌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이 AI 반도체 시장에서 엔비디아와 경쟁에 나섰다. 특화형 AI 반도체 설계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엔 빈봉투였는데 올해는?”…삼성전자 반도체 성과급 16%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분의 초과이익성과급(OPI·옛 PS)이 올해 연봉의 12~16%로 결정됐다. 그 동안 DS부문은 최대 한도인 연봉의 50%까지 받아왔지만 지난해 실적 부진에 시달리며 0%를 찍어 직원들 사이 충격이 컸다. 그러나 올해는 실적 개선이 예상돼 ‘성과급 쇼크’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학개미, 연말연시 투심 테슬라로 몰려…브로드컴 등 성장 주목개인 투자자 ‘서학개미’의 연말연시 투심은 테슬라로 집중하고 있지만, 급부상한 AI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브로드컴, AI 칩 열풍에 서학개미 눈길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에 서학개미의 매수세가 쏠리고 있다. 인공지능(AI) 칩에 대한 수요 증가와 ASIC 기술 강점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러다 배터리까지 잠식당할라”…테슬라 ESS배터리는 中업체가 싹쓸이中EVE에너지 2026년부터 테슬라 메가팩토리에 공급 CATL·BYD 이어 세번째 중국이 독점한 LFP배터리 LG엔솔·삼성SDI 기술투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