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광주 말바우 시장에서 생긴 추억 속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어찌, 여기는 '기'가 없어!' 사람의 기억이라는 것은 참으로 놀랍다. 뇌가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냄새, 맛, 촉각, 청각 등 모든 감각에는 삶이 각인되어 있는 것 같다. 엄마는 늘 충청도에 '기'가 없다고 말씀하셨다. 알고 보니 '게'를 엄마는 '기'라고 발음하셨다. 아랫지방으로 시집을 간 엄마는 장에 갈 때마다 눈에 불을 켜고 그 작은 게를 찾아보았지만, 꽃게, 돌게, 털게뿐, 다른 게는 없었다. 그리운 '기'를 찾아 사는 게 뭐가 그리 바쁘다고 그 '기' 한 마리 못 찾아드리다 결국 나는 언니, 엄마를 앞세우고 광주에 있는 말바우 장으로 향했다. 수십 년 지난 지금도 기억에 또렷한 숫자, 2, 4, 7, 9. 엄마의 '기'가 별나서가 아니라 그 그리움이 무엇인지, 엄마 마음이나 내 마음이나 매한가지 일 테다. 전국에 오일장이 서는 곳이 서는 곳이건만그 말바우뿐이겠는가만은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그냥 장이 아니다.
3시간이면 냉큼 갈 수 있는 곳이건만그 말바우 장 나들이에 수십 년이 걸렸나 보다. '기'도 사고, 장날에만 먹을 수 있었던 당시 2천 원짜리 팥칼국수도 먹을 생각에 우리는 들떠 있었다. 어릴 적 살았던 집도 보고, 발바닥에 불이 나게 싸돌아다녔던 시장 골목과 어르신들이 촘촘하게 앉아 물건을 내다 판 좁디좁은 골목들을 볼 생각을 하니 설레기도 했다. 말바우 시장은 나의 유년 시절의 주 무대였다. 맞벌이하는 부모님 덕에 언니와 나는 짝지처럼 늘 붙어 다녔다. 아침, 저녁에만 볼 수 있는 부모님이라 오전, 오후반으로 초등학교 수업을 나눠 할 때도 나는 껌딱지처럼 언니를 졸졸 따라다녔다. 언니가 오전 수업이고 내가 오후 수업일 때, 언니 교실 맨 끝에 앉아 언니를 기다렸다 수업을 마치고 하교했다. 장이 서는 날이면 장이 파하기 전에 얼른 가서 엄마 심부름도 하고, 주전부리도 했다. 여름 방학이 되면 이른 아침에 장에 나가 푸성귀를 사다 날랐고, 오는 길에 내 이빨과 닮은 꼴인 얼룩배기 찰옥수수와 오란다, 뻥튀기 그리고 양 볼이 터지도록 큰 하얀 바탕에 무지개색 줄무늬가 있는 눈깔사탕으로 심부름 값을 모두 탕진하기도 했다. 후한 인심과 풍성한 먹거리, 그리고 상인들의 물건을 파는 곡조는 한 편의 뮤지컬 같기도 했다. 2, 4, 7, 9. 학교 숙제는 까먹어도 장날은 까먹지 않았던 나였다. 기억 속 '말바우 장' 1960년대 생긴 말바우 시장은 조선 중기 무등산을 배경으로 활약했던 의병 김덕령 장군의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화살보다 빠른 용마를 만들기 위해 훈련을 하던 중, 활을 쏜 후 말을 타고 달렸는데 그때 말의 발자국이 바위에 찍혀 말바위 산이 되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400개가 넘는 노점이 있고, 담양, 화순, 옥과 등 인근 지역에서 찾아올 만큼 큰 광주의 대표적인 장이다. 지금은 바위산은 흔적도 없지만, 어릴 적엔 말바우 언덕배기에서 한 시절을 보냈다. 겨울이면 납작한 돌을 모아 불을 피워 돌을 굽고, 집에서 가져간 달력을 돌돌 말아 주머니에 넣고 온종일 얼음판에서 뛰어놀았다. 해가 뜨면 말바우로 가서 돌을 굽고, 해가 지면 시커먼 손으로 집에 돌아왔다. 어린 우리에겐 아지트이자 훌륭한 놀이터였다. 언젠가 그 말바우 언덕이 평지가 되고 그 자리에 더 넓은 장이 생겼다. 지금은 그 형상조차 없지만, 기억 속의 그 돌 언덕배기가 투시도처럼 지금의 모습에 그대로 얹어진다. 장 근처에 숙소를 정하고, 우리가 살았던 집이 그대로 있는지 가 보았다. 너무도 달라진 모습이지만, 금세 찾을 수 있었다. 신진자동차학원, 도연슈퍼, 아가페교회, 한일약국, 대창운수 그리고 우리 집은 모두 다 사라졌다. 그런데도 꼭 그 자리에 있는 것만 같았다. 사라져서 더 그리운 것인지 아니면 보낸 시간의 밀도가 너무 진해서인지 아련하다. 맛은 기억의 더듬이로 느끼는 것 다음 날 해가 쨍하기 바쁘게 팥칼국수 집을 향한다. 시장에 포장을 쳐놓고 장사했던 집인데 살림집을 터서 가게로 만든 모양이다. 세월의 오래된 흔적을 고스란히 가진 곳. 수십 년 세월이 흘렀는데 여전하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기억 속 '말바우 장' - 어린 시절을 떠올리는 맛과 추억이 글에서는 기억 속 말바우 장의 아름다운 추억을 나눔으로써,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추억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억 속 말바우 장나는 어릴 적 말바우 장에서 넘치는 풍성한 먹거리와 더불어 아지트였던 말바우 언덕배기를 소중히 기억하고 있다. 400개가 넘는 노점가와 아름다운 곡조, 그리고 맛은 기억의 더듬이로 느껴진다. 만년의 흔적을 간직한 팥칼국수 집을 찾아 향하는 나의 몸은 세월의 흐름 속에서도 잊지 못할 유년시절을 되새기며 감동을 느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역사 속 빛나는 음악가 한동일, 83세로 별세한국을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한동일 씨가 83세로 별세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전쟁으로 황폐해진 시절 미국으로 유학을 떠나 1세대 글로벌 음악가로 활동하며 카네기홀 데뷔, 국제 콩쿠르 우승 등 한국인 음악가들에게 꿈과 시기를 열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NT 최평규 회장, '2025년 신년사' - 퍼펙트 스톰 속 '빛나는 새 아침' 향해SNT그룹 최평규 회장은 2025년 신년사에서 세계가 대변혁 시대와 불확실성, 초대형 복합위기 상황에 직면했다고 진단하며, 흔들림 없이 정도경영, 현장경영, 투명경영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역경에 강한 DNA와 도전정신으로 퍼펙트스톰 이후 다가올 역사적 발전 기회를 잡기 위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강 노벨상 수상 기념 강연 ‘빛과 실’ [플랫]빛과 실 지난해 1월, 이사를 위해 창고를 정리하다 낡은 구두 상자 하나가 나왔다. 열어보니 유년 시절에 쓴 일기장 여남은 권이 담겨 있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식의 매력, 장을 중심으로 세계를 사로잡다한식당 미쉐린 별 수상, 한국 장 등재, 한국 장 담그기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한식 미식 기차여행 등을 통해 한식의 세계적 인지도를 높이고 장의 매력을 보여주는 다양한 소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