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로 인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포털 사업자들은 ‘인공지능 통한 필터링’ ‘본인확인제’ ‘작성 이력 공개’ 등 대응을 하고 있지만 근본적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재난 상황에서 포털사업자의 댓글창을 차단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이런 가운데 해외에서도 댓글과 관련한 다양한 노력과 실험들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 달리 포털에 집중된 환경은 아니지만 기발한 아이디어를 적용해 국내에 참고할 만한 사례가 있다. 언론사가 댓글 관리자의 역할을 적극 수행한다는 점에서 한국 언론이 주목해야 할 점도 있다.퀴즈 풀어야 댓글
댓글로 인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포털 사업자들은 ‘인공지능 필터링’ ‘본인확인제’ ‘작성자 이력 공개’ 등 대응을 하고 있지만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반복된다. 국회에선 재난 상황에서 포털사업자의 관련 기사 댓글창을 차단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정치 양극화에 관한 분석을 다룬 기사에 댓글을 쓰려면 ‘이번 분석의 목표는 무엇인가?’ ‘분석에 사용된 방법론은 무엇인가?’ 등 객관식 퀴즈 3개를 맞혀야 한다. 아이폰X 출시 관련 기사에선 ‘기자가 아이폰X의 온도 관련 기능을 왜 우려하는지’ 등의 퀴즈를 맞혀야 한다. 국내에도 이 같은 댓글 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2018년 발행한 '뉴스 댓글 운영현황과 개선방향’ 보고서는 “뉴스기사를 3분의 2 이상 읽은 후에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권한을 주는 제도 도입을 제안한다”며 “제목에만 근거해서 작성된 댓글은 식견을 갖춘 의견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한국 언론에 댓글창은 필수로 여겨지지만 해외 언론사 가운데는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NPR, BBC, 로이터 등의 언론은 기사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는다. 일본의 아사히신문, 산케이신문,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주요 일간지들도 댓글창을 제공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2차 피해 막자” 사회재난 기사 댓글 폐지가 답?더불어민주당 이태원 참사 대책본부 소속 한준호 의원이 사회재난과 관련된 기사에는 댓글 기능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정보통신망법 개정안을 지난 26일 대표 발의했다.앞서 한 의원은 지난해 11월17일 이태원 참사 악성 댓글 규탄 기자회견에 참석해 “고 이지한님의 어머니께서 쓴 편지를 보도한 기사에는 차마 읽을 수조차 없을 정도로 극심한 악성 댓글이 달리고 있다”며 포털사업자가 악성 댓글 방지를 위해 실효성 있는 조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대책본부는 “악성 댓글로 유가족에게 2차 피해를 입히는 범죄에 강경하게 대응하겠다”고 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형 화재 막았다…소화기 들고 달려간 버스 기사최 씨는 버스를 급히 세운 뒤 출입문 옆에 있던 분말소화기를 들고 달려가 불을 껐다. 초기 진화 덕분에 불은 상가로 번지지 않았고 출동한 소방대원들에 의해 완전히 진화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던, 그루비룸 설립한 레이블과 전속계약…현아도 응원 댓글가수 던이 프로듀싱팀 그루비룸이 설립한 소속사와 전속계약을 체결했다. 던은 30일 레이블 앳 에어리어과의 전속계약 체결 소식을 직접 알렸다. 그는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음악을 곧 발표한다'(New place, New music Coming soon)라는 글을 적으며 팬들의 기대감을 자극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난방비는 시작이었다…버스·지하철·상하수도 요금 다 오른다 | 중앙일보서민의 체감물가 상승 폭은 더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r물가 경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안철수 '모으고 모아 1500억 기부'…다 해진 양말 들어보였다 | 중앙일보안 의원이 신고 있던 양말은 발바닥이 보일 정도로 해져 있었습니다.\r안철수 기부 절약 양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