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연말 예정이었던 은행 자본 강화 규제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시행을 내년 하반기로 미루었다.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금융사 자본 부담을 낮춰 기업 자금 공급을 촉진하기 위한 조치로, 은행들은 자본 규제 도입으로 인한 기업대출 축소 우려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연말서 내년 하반기로 연기 수출 기업 자금 공급 에 물꼬 금융당국이 당초 연내 도입할 예정이었던 은행권 자본 강화 규제(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시행 시기를 내년 하반기로 미루기로 했다. 탄핵정국에 달러당 원화값이 급락하는 등 시장 변동성이 커지자 금융사 자본 부담을 낮춰 기업 자금 공급 에 물꼬를 틔우겠다는 것이다. 은행들 입장에서는 규정에 따라 자본을 더 쌓아야 하는 부담이 줄면 그만큼 재무 여력을 기업 자금으로 돌릴 수 있게 된다. 1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실물경제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선제적 조치’를 통해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핵심은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를 연기해 기업 대출을 촉진하겠다는 것이다. 당국은 원래 17개 은행과 8개 은행 지주회사에 위기 상황에 대비해 최대 2.5%포인트까지 추가 자본 적립 의무를 지게 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업계 의견을 반영해 도입 시기를 늦췄다.
당초 금융사들은 연말부터 위기 상황을 분석해 보통주 자본(CET1)비율 하락 수준에 따라 추가 자본을 쌓아야 했다. 이렇게 되면 기업대출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CET1비율은 위험가중 자산에서 보통주를 통해 조달하는 자본이 차지하는 몫으로 일종의 자기자본비율이다. 통상 기업대출은 위험성이 커 CET1비율에서 분모를 차지하는 위험가중 자산을 늘린다. 당국 규정에 맞게 CET1비율을 높이려면 분모인 기업대출을 축소해 위험가중 자산을 줄여야 한다. 은행들은 자본 규제 도입이 미뤄지는 것에 환영하며 기업대출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이날 당국은 벤처기업 투자 문턱도 낮추기로 했다. 현재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는 투자 자산에 일괄적으로 400%의 위험가중치가 부여되는데 앞으로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에 따라 20~400%로 차등 적용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은행들에 “최근 외환시장의 변동성 우려를 고려해 기업들의 외화 결제와 외화대출 만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우리은행은 원화값 하락으로 운영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 기업을 대상으로 5000억원 규모 금융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기업 자금 공급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연기 금융 당국 자본 강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료쇼핑 조장하는 '비례형 보험' 사라진다금융당국 보험개혁회의진료비 늘수록 보험금도 늘어판매금지에도 꼼수영업 지속상품 출시 못하게 규제 강화다태아 태아보험 문턱 낮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당국, 은행 규제 완화 및 기업 대출 부담 완화금융위원회는 시장 변동성 심화에 대응하여 은행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 대출·투자 부담도 줄이기로 했다. 연말 예정됐던 스트레스 완충자본 규제 도입은 내년 하반기 이후로 연기되며, 벤처펀드 등에 위험가중치 적용 방식을 변경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비 폭증 주범 이거였네”…병원 많이 갈수록 이득인 보험, 앞으론 못 든다금융당국 보험개혁회의 진료비 늘수록 보험금도 늘어 판매금지에도 꼼수영업 지속 상품 출시 못하게 규제 강화 다태아 태아보험 문턱 낮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당국, 부동산신탁사 규제 강화...무궁화신탁 부실 위험 차단금융당국은 건설업 부실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부동산신탁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다. 무궁화신탁의 부실 상황을 고려해, 책임준공형 신탁사의 손해배상액을 총 위험액에 반영하고, 토지신탁 사업장의 수탁한도를 자기자본의 100% 이내로 제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금융당국, 은행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시기 내년 하반기 이후로 연기금융당국,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시장 변동성 확대 고려해 은행 스트레스 완충자본 도입 시기를 내년 하반기 이후로 연기.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의 건전성·유동성·재무안정성 여력 강화 조치를 마련. 또한, 벤처펀드 등 투자조합의 위험가중치 적용 방식 개선 및 국내 기업의 해외 신용평가 등급 활용 허용 등의 조치도 함께 확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4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심사, 비수도권 중소기업 지원 강화금융위, 제4인터넷전문은행 신규 인가 심사에서 비수도권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자금 공급 계획을 배점 기준에 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