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의 주식평가액이 올해 1분기보다 약 2조6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감소율...
올해 2분기 말 기준 국내 주요 그룹 총수 들의 주식평가액이 올해 1분기보다 약 2조6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감소율 1위는 이동재 에코프로 전 회장이었다.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지정한 88개 대기업집단 중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 46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비상장사 등을 통해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를 보유한 주식 현황도 포함했다. 주식평가액은 지난 3월29일과 6월28일 종가 기준이다.주식평가액 증가율이 가장 높은 총수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이다. 1분기 말 8378억원에서 2분기 말 1조3541억원으로 61.6% 올랐다. 고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이 보유한 주식을 물려받은 영향이 컸다.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같은 기간 2051억원에서 2887억원으로 40.8% 올라 2위를 차지했다.
반면 감소율 1위는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이다. 1분기 말 3조1744억원에서 2분기 말 2조2592억원으로 28.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주식평가액이 5조6738억원에서 4조2973억원으로 하락, 24.3% 감소율을 보인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뒤를 이었다.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 1위는 삼성 계열사 주식 15조7541억원어치를 보유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다. 이어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김범수 카카오 의장, 방시혁 하이브 의장 순이었다. 특히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주식재산은 올해 1월 2일 기준 3조7377억원에서 9241억원 늘었다. 이에 따라 정의선 회장은 김범수 카카오 의장을 제치고 주식재산 3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6조1186억원에서 1조8213억원이 줄어든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한 계단 내려간 4위에 랭크됐다. 한국CXO연구소 제공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재산분할 위기’ 최태원, 주식담보대출 580억원 늘었다국내 대기업집단(그룹) 총수 일가의 올해 주식담보대출 금액이 지난해보다 약 9000억원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이혼소송으로 1조4000억원의 재산분할 위기에 처한 최태원 SK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적은 지분으로 그룹 지배하는 총수, ‘배당’에는 인색총수가 적은 지분으로 그룹 전체를 지배하는 기업일수록 현금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수 이익으로 돌아갈 규모가 적은 배당에는 인색한 대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88개 그룹 1년새 고용 5만6천명 늘렸다…쿠팡 고용 증가율 61%(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쿠팡의 고용 인원이 1년 새 3만2천명 이상 늘어나는 등 국내 대기업 집단(그룹) 88곳의 직원 수가 1년 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얼마나 잘 나가길래”…1년새 직원 3만2151명 더 뽑은 ‘이 회사’쿠팡 3만2000명↑ SK 9500명↓ 88개 대기업 1년새 5만5919명↑ 고용 증가율 3.1% 수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AI시대에 우리애 밥벌이는 잘하려나”…걱정된다면 ‘이 능력’ 키워야겠네인지적 능력 임금 증가율 수준 1.6%P 감소 “교육 현장에서 타인과 소통·협업 능력 키워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선 이젠 돈벌기 힘들어”…건설사 영업이익률, 2021년比 반토막매출액 증가율 15.0%→4.7% 이자보상비율 462.6%→197.6% 부채비율 하락…업계, 해외시장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