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장관도 국가안보실도 대통령도 그 사실을 정확히 확인하지 못한 시점'\r북한 무인기 김병주 신원식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이후 국방부의 ‘지각 시인’이 논란이 된 5일 국회 국방위원회 여당 간사인 신원식 의원이 무인기의 용산 근접 가능성을 제기한 민주당 간사 김병주 의원을 향해 정보 출처를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에 김 의원은 한 매체를 통해 “비행궤적을 통해 합리적으로 유추한 것”이라고 답했다.
신 의원은 “그 정도의 정보를 사건 발생 직후 알 수 있는 길은 우리 내부에서 나온 정보론 절대 알 수가 없다. 유일한 길은 복귀한 무인기를 뜯어서 내장된 촬영자료를 확인한 북한 당국으로부터 정보를 전달받는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대통령실에 따르면 군 당국은 28일부터 전비태세검열에 들어갔고, 검열단은 방공 레이더 크로스체크를 1일부터 3일까지 확인했다. 이후 북한 무인기가 비행금지구역 북쪽을 스치고 갔을 가능성이 크다는 최종 판단을 내렸고, 해당 사실은 이튿날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됐다. 윤 대통령은 보고받은 즉시 국민께 알리라 지시했고, 국방부는 이날 영공 침범 사실을 인정한다고 브리핑했다그러면서 “만약 김 의원이 국민이 납득할 설명을 내놓지 않으면서 부채도사 흉내로 일관한다면, 이는 김 의원이 북한과 내통하고 있다는 합리적 의심을 할 수밖에 없다”며 “이건 제보자 보호라고 어물쩍 넘어갈 수 없는 심각한 국가안보 관련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속보] 드론 잡는 '드론 킬러' 신속 개발…스텔스 무인기는 연내 생산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 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식별·타격 체계를 강화해 무인기·드론 방공망을 촘촘히 구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동드론사령부 창설…'드론킬러' 개발·스텔스무인기 연내생산(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동드론사령부 창설…'킬러드론' 개발·스텔스무인기 연내생산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후속 대응책으로 '합동드론사령부'를 창설해 드론 전력을 확충하는 동시에 감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소한의 남북 ‘완충 장치’…9·19 군사합의, 존폐 기로에 서다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말 북한 무인기가 수도권 상공을 침범한 것과 관련 “북한이 다시 우리 영토를 침범하는 도발을 일으키면 9·19 군사합의 효력정지를 검토하라”고 4일 국가안보실에 지시했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무인기 무능 대응에 거짓말 논란에도…군 “대통령실은 안전”[아침을 여는 한겨레] 2023년 1월 6일 금요일 용산 하늘 뚫리고도 ‘안전 이상무’라는 군 👉 “교육감 직선제 폐지·러닝메이트제” 되레 교육 정치화 부추기는 교육부 👉 신고리 3·4호기, 무단 변경한 설계로 시공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